기타자료방

체용(體用)

바른마음 | 2017-10-06 19:38:43

조회수 : 1,909

■ 체용(體用)

자평(子平)의 3대 텍스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지식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체용(體用)의 바른 분별이 선결 요건이다. 선학들과 오늘날 많은 인사들이 고전을 답습하고 재해석하여 이론 체계를 세웠지만 이 점을 분명하게 구분하지 못했으므로 명리학의 학문적 원칙과 후학들의 학습 방향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흔들리지 않는 체용(體用)의 개념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용신(用神)에 대한 정의를 분명히 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내용에서는 ‘자평진전’의 ‘상신’과 ‘부억용신’을 주로 대비해서 체용을 도해하고 있는데, 격국을 완성시킨다는 의미에서는 ‘상신’과 ‘난강망’의 ‘십간용신’이 유사한 개념이다. 따라서 아래 내용 중의 ‘상신’을 ‘십간용신(喜用)’으로 설정하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다. 

용(用)의 정의
       體
        用
      日干
       月支
     體의 體
      體의 用
1. 용신은 일간, 신(身)에 대응하는 팔자의 정체성을 뜻한다. 즉 팔자의 월령(月令)이 용신이다. 이러한 바는 ‘서락오’가 도해한 1차적 체용 구분과 일치한다.

2. 용신은 팔자, 격국에 대응하는 희신을 의미한다. 즉 격국을 성격시키는 상신(相神)이 용신이다. ‘서락오’는 격국 체신에 대응하는 용신으로 부억용신을 희신으로 간주하였다.
       體
        用
      格局
       相神
     體의 體
      體의 用
       體
        用
      명식
     부억용신
     體의 體
      用의 體
3. 용신은 명식, 체신에 대응하는 부억용신을 의미한다. ‘서락오’는 상신과 부억용신을 동일시하는 혼동을 범했다.  

이상에서 용신은 격국(월지)과 상신을 의미하기도 하며, 부억용신을 뜻하기도 하는 글자로 유연하게 쓰임을 알 수 있다. 이 둘 중 어느 하나라도 동일시해서 해석하는 혼동을 범하면 심각한 학습 혼란을 초래하기도 하는 것이다. 보통 ‘體의 體’인 격국과 ‘用의 體’인 부엌용신은 분별이 용이하나, ‘體의 用’인 상신과 ‘用의 體’인 부억용신은 선학들도 용이하게 구분하지 못했다.

이 같은 내용을 체신과 용신의 영역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體神
                   用神
      體의 體
      體의 用   
       用의 體
       用의 用
       격국
       상신
       부억용신
        희신

이렇게 체신의 영역과 용신의 영역은 별개의 사안이므로 체의 용인 상신과 부억용신이 혼용되어서는 곤란하다. 다만 두 글자가 일치하는 수가 있다. ‘서락오’의 경우 부억용신의 글자 또한 팔자 내에서 구하므로 그것이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부억용신으로 대표되는 최근관법이 표방하는 용신 류는 엄밀히 따져 명식 내에 존재하지 않는 글자를 쓸 때도 있고, 보통 오행(五行)군으로 표방하지만 상신의 경우 글자로 정해지며 격국이 존재하는 한 명식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가 없다.

     體의 體
     體의 用   
       用의 體
       用의 用
       일간
       격국
       부억용신
         희신
참고로 서락오가 ‘적천수보주’에서 체용을 도해한 바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體
        用
       격국
       운로
4. 체는 명(命), 용은 운(運)으로 구분된다.

무엇이 격국인가. 사주의 격국은 일차적으로 팔자로 이루어지지만, 이차적으로는 팔자에 대운이 배합되어 격국이 이루어진다(命之格局, 成於八字, 然配之以運, 亦有成格變格之權). 이렇게 보면 대운 역시 체(體)의 영역에 속한다. 즉 체신(體神)은 ‘팔자 명식과 대운’으로 구성된다. 그렇다면 운로는 매년과 시운으로 정해진다. 바로 세월(歲月)을 뜻한다.
        體
        用
   八字와 大運
  歲年과 月日時

반면 ‘서락오’는 대운을 용(用)의 영역으로 간주하였다. 바로 이점이 상신과 부억용신을 엄격하게 가리지 못한 단서로 삼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격국을 성격시키는 상신의 글자는 명식의 강약보다 격국의 순역에 좌우된다. 그러나 부억용신은 명식의 신강약이 절대 기준이 된다. 아마도 ‘서락오’는 ‘자평진전’의 격국 별 취운(聚運)법에서 강약을 수시로 거론한 부분에서 ‘희신=상신=부억용신’의 개념을 확정지은 듯하다. 그러나 그 역시 ‘論行運成格變格, 행운의 성격과 변격을 논함’ 편에서 “운을 원국과 배합하는 것은 원국에 운의 간지가 원래부터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배합하면 된다”고 했다. 이러한 바는 대운의 정체성을 두고 체용을 분명히 가려두지 못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體
        用
   八字와 大運
     부억용신
결론적으로 용(用)이 체(體)를 규정할 수는 없으므로 부억용신이 격국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대운은 격국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운은 우선적으로 체신(體神)의 범주에 속한다.

그런데 대운은 용(用)의 범주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그것은 명식에 대응하는 대운의 작용력과 관계가 있다. 격국의 성패를 좌우하는 용법의 견지에서 보면 대운은 체신에 속하지만, 명식의 강약에 따라 부억 용법으로 쓰일 때는 용신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선은 전자에 그 의미를 두어야 마땅하다. 따라서 운을 추론하는 행운법(行運法)에서는 대운과 세운을 동일시해서는 안 되며, 필시 구분을 두어야 마땅하다. 대운과 달리 세운의 희기는 오직 부억용신을 기준으로 성패와 득실을 계량하게 된다.

       體
        用
    팔자, 대운
       세운
      命, 運
       歲, 月

‘서락오’ 뿐만 아니라 ‘심효첨’ 또한 체용의 구분이 명확했던 것은 아니다. 이른바 잡격(雜格)을 다루면서 고래의 이론을 쉬 부정했다. 보통 고가(古歌)에 나타나는 운의 희기는 용(用)의 영역인 세월(歲月)의 희기를 말한 것이다. ‘심효첨’은 그것을 대운의 희기와 동일시했으므로 부당한 입장을 취했다. ‘지평진전’이나 ‘난강망’ 같은 고서들은 모두 체신의 용법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세월의 희기를 논하는 예전의 설을 채용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적천수’에 비해 외격이나 잡격의 이론이 허술한 바는 모두 체용의 분별이 엄격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점에서 후대의 ‘서락오’가 확고한 학문적 원칙을 세우지 못한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용신(用神) 사례

아래는 ‘논인수(論印綬)’ 편에 거론된 장참정(張參政)의 팔자다.

戊辛戊丙
子酉戌寅

1. 용신은 戌土, 따라서 인수격이다. 이렇게 월지(격국)을 곧 용신으로 거론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2. 인수격은 순용의 격국으로 정관 丙火를 보아 성격된 귀명이다. 이러한 명식을 인수용관(印修用官)이라고 한다. 이때 丙火는 상신이다. 상신 丙火를 두고 인수격에서 용관(用官)했다 하여 용(用)이라는 표현을 한다.

※ 따라서 같은 용신의 글자를 두고 월지 戌土를 가리키기도 하며, 丙火 상신을 가리키기도 한다.

3. ‘서락오’는 장참정의 명을 두고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것은 용신이 정관에 있지도 않고, 인수에 있지도 않으며 식신 子水에 있다. 그러므로 동북방의 金水木 대운에 발달했다” 대운을 일단 체신의 영역으로 간주해서 격국의 성패를 판단하는 식이 아니라 세운과 같이 부억 체계에 의해 판독하는 ‘서락오’의 간명법(看命法)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생략한다.

※ 아무튼 이상과 같이 같은 용신을 거론하지만, 모두가 다른 용신을 염두에 두는 다양한 의미에 대해 보다 유연하고, 확고한 입장이 서야 팔자술의 베이식을 다질 수 있다.



▪ 자평(子平) 3대 텍스트 체용 분할
     體用
             체신(體神)
             용신(用神)
  體用 分割
     體의 體
    體의 用
    用의 體
    用의 用
   자평진전
     格局
    相神
 
 
   난강망
    月別日干
    十干用神
 
 
   적천수
       日干
     月令
    扶抑用神
      喜神
    命,運,歲
          八字,       大運
               歲運
 
 

출처 : 명리역학 - duckjiny.blog.me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59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59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3.15.223.129'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