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1 (월)

 가입인사
close
HOME > 육효방 > 야학노인점복전서 강의

본 게시판의 모든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원제역학연구원에 있으며, 본 게시판의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사용을 엄격히 금합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得卦法(득괘법)

페이지 정보

본문

得卦法(득괘법)

득괘(得卦)의 방법에는 일정한 방법만이 있는 것이 아니고 수많은 방법이 있다.
점치는 사람의 성격, 수학방법(修學方法), 형편에 따라서 달리 사용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만 간추려 적는다.

 
시초점(蓍草占)

가령 주역에서 시초(蓍草)를 사용하는 방법인데, 시초(蓍草) 50개를 사용하여 득괘(得卦)하는 방법이 있다.
지금은 대나무 가지를 사용하는데,
하나를 뽑아서 한 쪽 끝에 놓고 나머지 49개의 점대를 손에 잡히는 대로 두 묶음으로 나누는데, 이는 태극(太極)이 양의(兩儀)로 나뉘는 것을 상징한다.

왼쪽 다발에서 1개를 뽑아 왼쪽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우는데, 이는 삼재(三才)인 하늘과 땅과 사람을 상징한다.

나머지 왼쪽 다발을, 4개를 1조로 하여 나눈다.
이는 일 년에 사계절(四季節)이 있음을 상징한다.

이렇게 나누기를 계속하면 결국 4개 이하의 점대가 남게 된다. 이렇게 남은 점대를 왼손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운다.
이는 윤달을 상징한다.

그 다음에 오른쪽 다발도 4개를 1조로 하여 나누기를 계속한다.
이때도 4개 이하의 점대가 남게 된다. 이 나머지 점대를 왼손 검지와 중지 사이에 끼운다.
이는 고대 역법(曆法)대로 5년마다 두 개의 윤달이 있음을 상징한다.

왼손의 손가락 사이에 끼워놓은 점대를 모두 모아서 한 쪽에 내려놓는다.
그 수는 5 아니면 9이다.
이로써 첫 번째 변화가 완성한다.

4개를 1조로 나누어놓은 점대(40 혹은 44개)를 모두 합쳐서 다시 손에 잡히는 대로 두 묶음으로 나누고,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왼쪽 다발에서 1개를 뽑아서 왼손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운다.
다시 왼쪽 다발을 4개로 1조로 하여 나누어, 그 나머지 점대를 왼쪽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운다.
그리고 오른쪽 다발 역시 4개를 1조로 하여 나누기를 계속하여 남는 점대를 왼손 검지와 중지 사이에 끼워 넣는다.
왼손에 끼워둔 점대를 모두 모아 한쪽에 내려놓는다.
그 수는 4 아니면 8이다.
이로써 두 번째 변화가 완성된다.

남아있는 점대(32, 36, 혹은 40)를 합쳐서 위와 똑같이 반복하면 세 번째 변화가 완성된다.
이때 남는 수는 4 아니면 8이다.
마지막 세 번째 변화가 완성되면서 얻어진 4개 1조로 된 묶음은 9개, 8개, 7개, 6개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홀수의 묶음(9 또는 7)이 남았다면 양효(陽爻)가 되고, 짝수의 묶음(8 또는 6)이 남았다면 음효(陰爻)가 된다.
이것이 초효(初爻)이다.
이 중에서 특히 짝수의 낮은 수인 6개의 묶음은 노음(老陰)이 되고, 홀수의 높은 수인 9개의 묶음은 노양(老陽)이 된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여섯 차례 반복함으로써 초효(初爻), 이효(二爻), 삼효(三爻), 사효(四爻), 오효(五爻), 상효(上爻)를 순서대로 얻게 된다.
다시 말해 여섯 개의 효(爻)로 이루어진 괘의 모양을 얻기 위해서는 18차례의 변화를 거쳐야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괘가 바로 점치는 사람이 알고 싶어하는 형상이 된다.
주의할 점은 육효(六爻)를 정해 가는 과정에서 노음(老陰) 또는 노양(老陽)을 얻었다면 이 괘는 즉 동효(動爻)이니, 노음(老陰)은 양(陽)으로 노양(老陽)은 음(陰)으로 변한다.

 
주사위점

세 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수(數)를 얻되,
팔괘를 의미하는 8로 나누어 그 나머지를 내괘(內卦)로 삼고, 다시 세 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8로 나누고 그 나머지를 외괘(外卦)로 삼는다.
(나머지가 1이면 선천괘(先天卦)로 건(乾)이고 2는 태(兌)이며 3은 이(離)인데, 나머지가 0이면 곤(坤)이다)

재차 동효(動爻)를 뽑는데,
다시 한번 던져서 수(數)를 얻되 육효(六爻)를 의미하는 6으로 나누어 그 나머지가 동효(動爻)이다.
(나머지가 1이면 초효(初爻)가 동효(動爻)이고, 나머지가 0이면 상효(上爻)가 동효(動爻)이다)
      
 
시간점(時干占)

12시간제 또는 24시간제 중에서 택일하되,
시(時)를 8로 나누어서 그 나머지가 내괘(內卦)이고, 분(分)을 8로 나누어 그 나머지가 외괘(外卦)이며, 시(時)와 분(分)을 합하고 6으로 나누면 그 나머지가 동효(動爻)이다.

가령 괘를 뽑을 때의 시간이 10시 46분이면,
10을 8로 나누면 나머지가 2이니 내괘는 태(兌)이고, 46을 8로 나누면 나머지가 6이니 외괘는 감(坎)이다.
이에 내괘가 태(兌)이고 외괘가 감(坎)인 수택절괘(水澤節卦)이다.
10과 46을 합하고 6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2이니, 즉 이효(二爻)가 동효(動爻)이다.

 
대나무 가지를 사용하는 방법

대나무 가지 여덟 개를 가지고 하는 방법인데,
대나무 가지 여덟 개에 각각 1부터 8까지의 숫자를 쓰고 산통(算筒)에 넣는다.
산통을 흔든 다음 점치러 온 사람으로 하여금 뽑게 하는데,
처음 뽑은 점수(占數)가 내괘(內卦)이고, 다시 뽑은 점수(占數)가 외괘(外卦)이다.
세 번째로 뽑은 점수(占數)를 6으로 나누고, 그 나머지 수가 동효(動爻)이다.
 
 
척전점(擲錢占)

동전 세 개를 산통에 넣고 흔들어 떨어뜨리는 방법인데,
가령 백 원짜리 동전을 사용한다면 숫자인 백(百)은 음수(陰數)이니 음(陰)으로 삼고, 문양이 있는 이면(裏面)이 양(陽)이다.
엽전을 사용한다면 숫자가 음(陰)이고 문양이 양(陽)이다.
세 개를 떨어뜨려서 숫자가 둘이고 문양이 하나이면,
하나인 것이 체(體)이고 두 개인 것이 용(用)인데, 하나인 체(體)를 위주로 하니 양효(陽爻)이다.
만약 숫자가 하나이고 문양이 두 개이면, 하나인 숫자가 체(體)이니 음효(陰爻)이다.
만약 숫자가 세 개이면 노음(老陰)이니 음효(陰爻)의 동효(動爻)이고, 문양이 세 개이면 노양(老陽)이니 양효(陽爻)의 동효(動爻)이다.

동전을 세 번 던져서 내괘(內卦)를 얻고, 동전을 다시 세 번 던져서 외괘(外卦)를 얻는데, 동효(動爻)가 하나도 없을 때도 있고 여섯 개의 효(爻)가 전부 동효(動爻)일 수도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건 1 페이지
  • RSS
야학노인점복전서 강의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0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13 03-13
39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397 03-13
38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94 03-13
37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94 03-13
36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52 03-13
35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29 03-13
34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97 03-13
33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91 03-13
32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37 03-13
31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22 03-13
30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49 03-13
29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33 03-13
28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72 03-13
27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70 03-13
26 no_profile 임대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53 03-13

검색

무료사주강의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27760]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18325]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230]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2631]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27087]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6499] 2
아들의 외고합격 [446798] 2
젊은 여성의 임신 [379443] 1
재벌 회장의 사주 [435606] 2
유명가수의 사주 [430193] 1
보험설계사 [40065]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0935]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1959]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