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가이드#2

격국론(格局論)

주르르루주르르루 | 2017-10-01 16:15:29

조회수 : 1,748

격국은 사주의 짜임새로서 체體가 되고 용신은 사주의 쓰임 즉, 용用이다. 격국은 사람의 신체와 같고
용신은 사람의 정신과 같다. 신체건장해도 정신이 박약하면 인격을 갖춘 사람이 못된다. 따라서 용신이
더 중요하다. 그러나 격국도 용신과 청탁을 따지는 소재가 되니 역시 중요하다. 격국에 의해서 용신이
결정되는 경우에는 격국용신을 같이 외워두어야 한다.

1. 격국의 판단우선순위 - 중요하니 필수암기할 것.

별격(別格)에 해당하면 그 격국이 우선이다.

정격(正格)의 판단우선순위

(1) 월령정기가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투출한 십신으로 격을 삼는다.
(2) 지지에 방,국(方,局)이 있고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천간에 투출한 십신으로 격을 삼는다.
(3) 월령의 지장간 중기,여기가 천간에 투출하였으면 이로 격을 삼는다.

위의 격국이 바른 격국이지만 이에 해당하지 않거나 월령이 비견,겁재일 경우는
정격으로 볼 수 없으니 다음 순서에 따른다.

(1) 월령이 비견,겁재면 월령을 제외하고 힘이 가장 센 오행으로 격을 잡는다.
(2) 방국이 있어도 천간에 투출하지 못했으면 이로 격을 잡는다.
(3) 기타는 월령을 제외하고 가장 힘이 센 오행으로 격을 잡는다.
월령이 자오묘유로서 오행왕지이면 월령으로 격을 잡기도 한다.

2. 격국의 종류

아래 격국의 명칭은 반드시 외워두어야 한다.

(1) 팔격(八格) = 정격(正格)

식신격, 상관격, 편재격, 정재격, 편관격, 정관격, 편인격, 정인격
食神格, 傷官格, 偏財格, 正財格, 偏官格, 正官格, 偏印格, 正印格

살중용인격(殺重用印格),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格), 제살태과격(制殺太過格)

상관용인격(傷官用印格), 상관용겁격(傷官用劫格)
상관용재격(傷官用財格), 상관용관격(傷官用官格)
상관용상관격(傷官用傷官格)

(2) 별격(別格, 變格, 外格)

가. 전왕격(全旺格, 一行得氣格)
곡직인수격(曲直印綬格),염상격(炎上格),가색격(稼穡格),
종혁격(從革格),윤하격(潤下格)
나. 종격(從格)
종아격(從兒格), 종재격(從財格), 종관격(從官格), 종세격(從勢格)
다. 합화격(合化格)
라. 양기성상격(兩氣成象格)

(3) 외격(外格, 雜格)
연해자평에 수십가지의 격국이 있는데 중요한 격국은 아니나 통변시 참고한다.
차후 상술함.

3. 겸격(兼格)

경우에 따라 위 격국이 여러개가 동시에 성립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겸격이라
한다. 예컨대, 甲木일주에 辰月인데 월간에 戊土가 투출하였다면 편재격이 된다.
그런데 壬水도 동시에 투출하였다면 辰月의 癸水中氣가 천간에 투출하였으니
편인격도 되는 것이다. 또 지지에 寅午戌火局이 있다면 상관격도 성립한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主와 副가 있으니 월령정기의 격국인 편재격이 主가 되고
편인격,상관격은 副가 되는 것이다.

4. 정격해설(正格解說)
정격에 대한 해설은 연해자평의 정격해설을 볼 것이고, 격국의 변화에 대한 상세한 격국론은
자평진전의 격국론을 공부하라.
 

5. 관살,상관(官殺,傷官)의 격국

이 관살과 상관에 관련된 격국은 격국에 따라 용신이 정해진다. 이 부분이 용신판단에 중요한 포인트
되니 잘 알아두어야 한다. 격국명칭, 격국성립조건과 용신희신을 외워두는 것이 좋다.

(1) 살중용인격(殺重用印格)

성립조건 1. 身弱 2. 관살 태왕 3. 인수가 있음. 용신 印星, 희신 比劫
이 격국은 재성이 없거나 재가 있어도 인성용신을 해롭게 하지 말아야 좋다.

(명조예)
甲 戊 甲 戊
寅 午 寅 子
신약하고 칠살목이 태왕한데 일간이 인수를 지지에 깔고 앉아 칠살을 化殺하고 있다. 더구나 오화가
인오화국으로 양 인목을 끌어당겨 자기편으로 만들고 있어 좋다. 오화인수용신, 토희신

(2) 식신제살격(食神制殺格)

성립조건 1. 신약 또는 중화 2. 관살태왕 3. 인수가 없음. 4. 식신이 힘이 있음.
용신 식신, 희신 비겁
이 격국에 비겁이 있다면 인수도 왕성한 칠살을 설기하고, 비겁이 인수를 통관하여 식신용신을 보호
하니 나쁘지 않다. 만약 비겁이 없는데 인수가 오면 식신용신을 극하니 나쁘다. 만약 식신이 있으면 먼저
식신을 쓰고 식신이 없으면 인수(살중용인격)을 쓰니 주의할 것.

(명조예)
戊 丙 壬 壬
戌 戌 子 子
신약하고 칠살임수가 태왕한데 인수가 없고 식상이 힘이 있으니 칠살을 制殺하고 있다.
무토식신용신. 화희신.

(3)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格)

성립조건 1. 身旺 2. 약한 관살 3. 힘이 있는 재가 살을 생조.
(재가 힘이 없으면 못씀.) 용신 財, 희신 官
이 격국은 식상이 없어야 좋다. 식상은 약한 관살을 극하기 때문.

(명조예)
辛 庚 庚 丙
巳 申 寅 申
신왕하고 金이 태왕하여 칠살병화가 극을 심하게 받고 있는데 월령의 힘이 있는 인목재성이 병화를
생조하고 있다. 時支巳火는 금에 둘러싸여 금을 돕고 거리가 멀어서 병화를 돕지 못함.
인목재용신, 병화희신.

(4) 제살태과격(制殺太過格)
성립조건 1. 신약 또는 중화 2. 식상이 태왕 3. 관살미약
용신 인수, 희신 관성

(명조예)
己 丙 戊 辛
亥 辰 戌 卯
신약하고 식상인 토가 태왕한데 해수칠살이 토왕절에 약하고 주변에 금이 없으며 辛金은 멀리 떨어져
있어 힘을 받지 못하므로 미약하다. 식신이 제살을 심하게 하고 있다. 인수인 묘목용신, 관성희신.


다음은 상관격으로서 용신이 다르게 잡히는 경우를 분류한 격국이다.

(1) 상관용인격(傷官用印格)

성립조건 1. 신약 2. 상관격 3. 상관이 태왕 4. 인수가 있음. 5. 財가 약함.
용신 인성, 희신 비겁.
일주의 설기가 심하므로 비겁이 희신이다. 이 때 財가 없거나 財가 있어도 인수용신을 파극하면 안된다.

(명조예)
己 丙 辛 己
丑 寅 未 丑
신약하고 화토상관격으로 토상관이 태왕한데 병화의 장생지인 인수가 일지에 있어 토를 제압한다.
인목용신, 화희신.

(2) 상관용겁격(傷官用劫格)

성립조건 1. 신약 2. 상관격 3. 상관이 태왕한데 4. 財가 힘이 있음.
용신 비겁, 희신 인성
사주가 비겁과 식상만으로 되어 있을 때 식상이 태왕하고 종아격이 아니라면 역시 비겁을 용신으로
삼는다. 이 사주는 관성이 없어야 좋다. 관성이 비겁용신을 극하면 나쁘다.

(명조예)
己 戊 辛 癸
未 申 酉 亥
신약하고 토금상관격으로 금상관이 왕성한데 인수,관성은 없고 재가 힘이 있으니 모든 힘이 재로
모인다. 비겁 土로 財인 水를 제압해야 한다. 토용신, 화희신.

(3) 상관용재격(傷官用財格)

성립조건 1. 신왕 또는 중화 2. 상관격 3. 상관왕성 4. 재가 있고 약함.
용신 재, 희신 식상

(명조예)
乙 丁 戊 丙
巳 卯 戌 申
목화가 많아 신왕한데 화토상관격으로 상관이 왕성한데 재가 있고 미약하다. 재를 살려야 하니
재인 신금용신, 토희신이다.

(4) 상관용관격(傷官用官格)

성립조건 1. 신왕 또는 중화 2. 상관격 3. 관성이 힘이 있거나 천간투출
용신 관, 희신 재

(명조예)
乙 戊 己 壬
卯 戌 酉 戌
일간 무토가 힘이 있는데 토금상관격이고 時의 을목은 지지에 묘목의 뿌리가 튼튼하여 용신이 된다.
을목용신, 수희신


(5) 상관용상관격(傷官用傷官格)

성립조건 1. 신왕 또는 중화 2. 상관격 3. 財官이 없거나 미약.
용신 식상, 희신 재.

(명조예)
癸 癸 戊 乙
丑 酉 寅 酉
계수일주가 실령하였으나 힘이 있어 중화를 이루고 수목상관격인데 재관이 모두 미약하다. 정관무토는
寅月에 뿔끝에 앉았고 축토는 유축합하여 금으로 화하니 뿌리가 없어 쓸 수 없고 재성인 화도 없다.
상관인목용신. 화희신


6. 별격해설(別格解說)

이 별격에 관련된 격국은 격국에 따라 용신이 정해지니 격국명칭과 용신을 같이
외워두어야 한다.

(1) 전왕격(全旺格)

전왕격이란 모든 힘이 일주로 모일 경우이다. 일주가 독재권력을 잡고 있으니 이에 거슬리는 것은
반역자로서 숙청대상이다.
성립조건 : 지지에 방국을 이루고 천간투출 또는 지지가 모두 인수,비겁인 경우
용신희신 순기세(順氣勢, 식상,비겁,인수)
기신 財,官
식상운이 일주의 왕성한 기운을 설기하니 가장 좋다.

(1) 곡직인수격(曲直印綬格) - 일주木 (2) 염상격(炎上格) - 일주火
(3) 가색격(稼穡格) - 일주土 (4) 종혁격(從革格) - 일주金
(5) 윤하격(潤下格) - 일주水

(명조예)
丙 甲 丁 甲
寅 辰 卯 寅
지지가 인묘진방에 인목이 있고 천간에도 목이 투출하였으니 곡직인수격이다.
목의 힘을 설기하는 화가 가장 좋고 수목도 좋으나 재관인 土金은 忌神이다.


(2) 종격(從格)

종격이란 일주가 힘이 없어 타오행을 따라가는 경우로서 순기세(順氣勢)하여야 하고 비겁, 인성운은
從하는 오행을 거역하니 나쁘다.
용신희신 식상,재,관
기신 비겁, 인성
일주가 자기 命을 버리고 힘센 자를 따라가야만 먹고 살수 있는데 이를 붙잡는 비겁,인성은 기신이 된다.

종(從)의 기준
종의 기준은 까다로운 부분으로 역학의 대가라는 분들도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1. 일주陽干이면 地支中氣이상에 뿌리가 있으면 從하지 않는다.
2. 일주陰干이면 지지正氣에 뿌리가 있으면 從하지 않는다.
음간은 천간에 비겁,인성이 1~2개 있거나 지지중기여기에 뿌리가 있어도 從한다.

(1) 종아격(從兒格) : 대부분이 식상으로서 일주가 식상을 따라가는 경우.
(2) 종재격(從財格) : 대부분이 재이고 (또는 일부식상)인 경우.
(3) 종관격(從官殺格) : 대부분이 관이고 (또는 일부재)인 경우.
     종관살격은 비겁인수운뿐만 아니라 식상운에도 관살과 극이 되니 나쁘다.
(4) 종세격(從勢格) : 식상,재,관이 모두 힘이 있어 균정(均正)할 때이다.
     이 때는 재운이 가장 좋다.

(명조예)
丙 乙 丙 戊
戌 未 辰 戌
일간 을목은 음간으로서 미토,진토중 중기여기에 뿌리가 있으나 이는 뿌리가 되지 못하고 정기에 뿌리
가 없으니 왕성한 토 재성으로 종한다. 종재격이다. 火는 힘을 土로 모으니 火가 많더라도 종아격으로
보면 안된다.

(3) 합화격(合化格)

일주가 힘이 없고 月干 또는 時干과 합이 되며 화신(化神)이 지지에 뿌리가 있을 때 합화격이 된다. 합화
격은 종격과 같이 자기 命을 버리고 힘센 자를 따라가는 것인데 다른 점은 종격은 자기 혼자 남을 따라가
자니 좀 어렵고, 합화격은 남과 합하여 따라가는 것이니 종격보다 從하기가 더 쉽다.

합화(合化)의 기준

1. 일주가 지지에 뿌리(地支正氣)인 비겁,인성이 없어야 함.
천간의 비겁, 인성1~2개는 지지에 뿌리가 없으면 合化로 봄.
2. 합하는 간지(月干, 時干)도 지지에 뿌리가 없어야 함.
단, 합하여 자신에게 이로울 때는 합하여 종함.
3. 化神이 힘이 있어야 하고 월령이면 더 확실하다.

化神이 왕성하면 화신을 설기하는 오행이 용신, 화신이 약하면 化神이 용신이다.
예컨대 갑기합토일 때 토를 거슬르는 오행이 忌神이다.
용신 : 토가 강하면 토,금, 토가 약하면 화,토
기신 : 목,수

(명조예)
甲 壬 丁 己
辰 午 卯 卯
일간 임수가 월간 정화와 합이 되는데 임수의 뿌리가 없다. 따라서 정화와 합하여 목으로 따라간다.
정화는 비록 지지에 목화가 있어 뿌리가 되지만 합하여 목을 따라가더라도 자기 뿌리가 튼튼해지는
것이니 더 좋아한다.

(4) 양기성상격(兩氣成象格)

두 오행이 각각 천간2개, 지지2개씩으로 대치하고 있을 때 양기성상격이라 한다. 이 때는 순기세(順氣
勢)하여야 한다. 이에 거슬리는 오행이 忌神이다.

예컨대 金水成象格이면
용신 : 순기세(順氣勢, 금,수,목)
기신 : 화,토

(명조예)
丁 甲 丁 甲
卯 午 卯 午
목이 천간2개, 지지2개이며, 화가 천간2개, 지지2개이니 목화성상격이다.
용신 목,화 기신 금,수이다. 같은 양기성상격이라도 이와 같이 일주가 힘이 있고 설기되는 것이 더 좋은
격국이다.
 
 
출처 :여환명리학회(如幻命理學會) 원문보기   글쓴이 : 여환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17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17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13.58.224.40'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