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가이드#2

용신[用神]

을일생 | 2017-10-01 20:39:02

조회수 : 2,284

用神
 
 
 
[원문]
 
自古以來, 古書對於用神無明確的定意, 隨着學問之發展, 以多種意義, 演變而來。
<窮通寶鑑>裏, 有關用神之部分言及爲例, 解釋之, 則:
 
「凡此五行不和之, 細究之必驗也。然興人事可相通也。不可專執而論, 如病不相符。
可究其六親之吉凶, 事體之否泰, 必有應驗也。」
 
用神主管個人之生命與健康。成熟期, 則主管富貴與名利之根幹。
喜神爲生活之根基、地基與後援人, 故指周圍環境。
於是, 「喜神不在」, 指無山之情況下, 所取得的富貴。喜神又視爲主管六親之生死旺衰之因素, 故不許輕率地論, 「無官四柱, 則無配偶之獨身命」等之單式推論。
 
因此, <窮通寶鑑>所謂之用神, 隨着成長過程, 用神之六親也發生變化。
 
1。男命
 
成長期: 用神-父, 喜神-母
結婚後: 用神-子, 喜神-妻
 
2。女命
 
成長期: 用神-父, 喜神-母
結婚後: 用神-夫, 喜神-子
 
 簡略用神之槪念, 則,
 
① 主管名利
② 主管壽命
③ 主管性情
④ 主管六親
 
以上, 在實際論命時, 可得驗證。
 
用神法
 
取用神之方法(用神法)的重點在「扶抑」(扶助弱, 抑制强)與「專旺」(從强旺之勢)。時常膾炙於世之「調候」爲次要的因素。如近賢徐樂吾早已指出, 日干弱, 則當務之急, 爲扶助之而救濟之。故扶抑領先於調候。我在「十干論」篇, 將再詳解釋之, 就能可知調候論者的論理係統有多漏洞。故依「扶抑法」取得之用神, 若與「調候」一致, 則可認爲是更適當的用神。還有一點, 調候用神未必以透出之天干爲條件。
用神, 一言以蔽之, 是控制人生成敗之無形之氣。不管其成就如何, 爲了表現爲一種現象, 須按照「動靜說」--按照透出天干之情況, 冬節也可夏節之氣旺盛, 夏節也可冬節之氣旺盛--, 取天干爲定。
 
「明澄派」之第十三代掌門人, 張耀文, 已看透了此點, 對於用神下了如此之定意。則, 用神爲「命造最重要之干。」
用神, 一般較多取强而有力的。用神, 必須强而有力, 以喜神, 也須有强而有力之作用。此乃是現代命學理論之核心部分。
例如, 對於正格之身强命, 初學者常常苦心, 到底食財官當中, 取何爲用神。除了特殊的情況以外, 一般都取三者中最强而有力之字爲用神。
喜神群, 不管是「正格」或「變格」, 可分爲, 喜印比之組合, 或喜食財官之組合。故對於喜比劫與食傷之例, 應外分類爲「別格」。例如, 「從旺格」, 喜印比, 忌食傷。但「一行得氣格」, 則喜印比和食傷。故將「一行得氣格」列入別格之內, 若列入與「從旺格」同類, 爲錯誤之觀法。
 
 陰陽干性質之分別
 
區分
判別强弱之
重點
身强時
喜神
身弱時
喜神
陽日干
十二運星之作用力
(出生的季節)
官殺
印綬
陰日干
日干以外,
主導勢力之分布
傷官
劫財
 
 
 
[써머리]
 
자고로 고전(古典)에 用神의 정의를 분명하게 해두기 보다는 학문발전 과정에 따라 여러 의미로 운용되어 왔다.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일부분 언급한 것을 토대로 접근해보면, 用神은 본인의 생명과 건강을 주관하고 성숙기의 부귀명리(富貴名利)를 주관하는 요체가 되는 것이다.
 
喜神은 살아가는 토대와 기반이 되고 후원자가 됨으로 주위환경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喜神의 不在는 기댈 언덕이 없는 상황에서 성취하는 부귀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六親의 生死旺衰를 주관하는 요소로도 간주되므로 이른바 女命에서 단지 官이 없는 無官 사주라 해서 배우자가 없는 독신 命이라 판단하는 무리를 범한다면 곤란하다.
 
궁통(窮通)에서의 用神은 각기 성장 과정에 따라 육친의 대상이 달라지는 것이다.
 
1。男命
 성장기 : 用神-父, 喜神-母
 결혼후 : 用神-子, 喜神-妻
 
2。女命
 성장기 : 用神-父, 喜神-母
 결혼후 : 用神-夫, 喜神-子
 
 
用神 개념을 요약하면,
① 명리(名利)를 주관
② 수명(壽命)을 주관
③ 성정(性情)을 주관
④ 육친(六親)을 주관
 
이상으로 이는 실전에서 증험(證驗)된다.
 
 
 
用神法
 
用神을 구하는 방법의 주요 포인트는 扶抑(약한것을 돕고 강한 것을 억제함)과 專旺(강한 세력을 따름)에 있다. 흔히 회자되는 調候는 부차적인 요소로 이미 ‘徐樂吾’가 지적 하였듯 日干이 약하면 일단 扶助하여 구제함이 시급하므로 扶抑은 調候를 앞서는 것이다. 후에 十干論을 살피면 일방적 調候論者들의 논리 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실감하게 된다. 따라서 扶抑法에 의해 도출된 用神이 調喉상으로도 일치하면, 그것을 더 적합한 논리로 받아들여도 무난하다. 또한 調候用神은 굳이 透出한 天干을 조건으로 하지 않는다.
 
用神은 한마디로 인간사의 成敗를 조율하는 무형의 기운이다. 또한 여하한 성취의 결과든 그것이 현상으로 발하려면 動靜說(天干의 透干 여하에 따라 겨울철에도 여름의 기운이 태성할 수 있고, 여름철에도 겨울의 기운이 태성할 수가 있다)의 논리에 근거하여 天干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장요문’은 이미 이 점을 간파하여 用神의 정의를 내리길, 用神이란 ‘命式 가운데 가장 중요한 干’이라 하였다.  그리고 用神은 강한 것으로 수렴되는 성향이 있고 用神은 반드시 강해야 하고 喜神으로서 힘이 있어야 한다는 논리가 현대 명학을 관조하는 이론의 핵심이다.
 
가령 正格의 身强命에서 초심자들은 命造의 食, 財, 官을 두고 어느 것을 用으로 삼을지 고심할 때가 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三者 중 가장 강한 세력을 형성한 글자를 用으로 삼으면 된다. 喜神群은 正格과 變格을 막론하고 印, 比의 조합이나 食, 財, 官의 조합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比劫과 食傷을 동시에 기뻐하는 경우를 別格으로 분류한다. 가령 從旺格은 印, 比를 기뻐하고 食傷을 기피하나 一行得氣格은 印, 比와 동시에 食傷을 같이 기뻐한다. 따라서 一行得氣格은 別格으로 분류되며 從旺格과 같은 부류로 상정하는 것은 잘못된 관법이다.
 
또한 日干의 陰陽干 속성에 따라 扶抑의 효과적인 六神을 이미 언급한 바 있다.
 
 
 
陰陽干 성질 분별
 
구분
强弱 판별 시
중점
身强할 때
喜神
身弱할 때
喜神
陽日干
十二運星의 작용력
(출생 계절)
官殺
印綬
陰日干
日干 이외,
주도세력의 분포
傷官
劫財
 
 
 
[해설]
 
用神(用)의 의미는 무척 다양하므로 이것을 잘 분별하지 못하면 참다운 命理를 깨칠 수 없게 된다. 體用의 분할이나 분간에 대해서는 ‘子平眞詮리뷰’와 ‘欄江網마스터리’를 통해 수회 강조한 바 있는데, 다시 한번 간략하게 간추려보겠다.
 
먼저 體에 대비되는 用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되는 게 정설이다.
 
日干
八字
八字와 大運
月令
大運
歲月
 
 
근세에 ‘徐樂吾’가 자부한 體用의 도해는 다음과 같았다.
 
體의 體
體의 用
用의 體
用의 用
日干
月令
扶抑用神
扶抑喜神
 
이 같은 견해는 종래에 통일되지 않은 體用의 의미를 한층 명확하게 구분하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써머리’에 언급된 ‘徐樂吾’의 견해를 살펴보면 扶抑과 調喉의 우선순위에서 혼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그의 體用 도해는 用의 범주에서 扶抑法에만 충실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體用의 분할에서 근본적으로 수정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 體用과 用神
 
用의 정의는 體用의 분할에 따라 그 정의가 달라지므로 먼저 體用의 정밀한 구분이 있어야 用神을 혼동하지 않게 된다. 體用의 분할은 종래의 세 가지에서 더욱 분화되어야 마땅하다.
 
體用 분할
一線
二線
三線
四線
日干
格局
八字
命運
月令
用神
大運
歲月
 
이상의 體用 분할에서 一線에서 三線까지는 오직 八字의 體神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體用의 구분으로 ‘體의 體’와 ‘體의 用’ 관계를 의미한다. 먼저 一線의 體用 구분을 살피면,
 
□甲□□
□□巳
 
甲 日干 體고, 巳 月支가 用이 된다. 이때 用神은 巳火다. 月支 用神은 곧 格局이 되므로 이 四柱의 格은 傷官格이 된다. 이렇게 ‘日干 대 月支’의 관계를 통해 格局이 정해지면 格局을 成格시키는 글자, 相神을 찾아 貴賤 여부를 가리는 것이다. 이때는 格局이 體가 되고, 相神이 用이 된다. 가령 다음과 같은 八字라면,
 
□甲
□□巳
 
傷官格이 財 己土를 보아 傷官生財로 格局을 成格시켰으므로 富命이 되기 쉽다. 이때 用神은 己土 財가 된다. 즉 二線의 體用 분할에서는 一線과 마찬가지로 이때의 用神은 다 같이 ‘體의 用’ 개념이다. ‘子平眞詮評註’에서 ‘徐樂吾’가 相神의 존재를 두고 이것을 扶抑喜神과 동일시하려 무척 고심한 흔적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體의 用’인 相神을 ‘用의 體用’인 扶抑之神으로 혼동하게 되면 올바른 八字學의 근간을 세우기가 요원해진다. 이는 곧 ‘徐樂吾’ 최대의 실수로 남았다. 그런데 巳月 甲木은 여름철의 열기가 점차로 성(盛)해지는 계절이므로 기후(氣候)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즉 癸水로 八字를 식혀야만 진정한 貴格이 된다.
 
癸甲□□
□□巳
 
이러한 유형의 八字는 상관패인격(傷官佩印格)이다. 즉 癸水로 인해 貴格이 成格되었으므로 癸水는 相神이고, 곧 體의 用으로 用神이 된다. 위의 두 命式은 다 같이 己土나 癸水의 相神으로 格局이 成格되었지만, 전자에 비해 후자의 貴가 훨씬 큰 것이다. 즉 기후적인 요소가 더욱 완성되면 八字의 格이 한층 높아지는데 이러한 글자를 調喉用神으로 일컫는다. 이로써 格局의 貴賤과 高低를 한층 세분화하는 이론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면,
 
1. 一線과 二線의 體用 분할에서 用神은 모두 ‘體의 用’으로 格局을 成格시키는 相神이 관건이다.
 
2. 相神 가운데 기후적인 요소를 충족시키는 調喉用神으로 成格되면 八字의 格은 더욱 높아진다.
 
3. 月令에 의해 정해진 格局을 가장 이상적으로 成格시키는 用神의 글자를 조합한 것이 十干論으로 十干用神은 調喉用神의 배열과 맥락을 같이 한다.
 
4. 지금까지 扶抑用神은 거론조차 되지 않고 있다.
 
이상으로 運을 제외한 命의 八字, 體神의 범주에서는 扶抑之神의 비중이나 의미에 대해 특별히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大運의 범위까지 확장해도 마찬가지다. 역으로 발상해서 相神이나 調喉用神, 十干論의 十干用神에 이르기까지 이 모두는 歲月의 成敗와 喜忌를 가르는 用의 영역에서는 쓰임새가 없는 것이다.
 
三線의 體用은 八字와 大運으로 나누어지는데 大運은 體의 영역에 속하기도 하고, 用의 범주에 속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단은 體의 영역으로 간주하는 게 옳다. 자고이래로 大運을 보는 방법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 많은 인사들이 大運法을 알지 못한다. 먼저 大運은 月支에서 파생(派生)된 것으로 이것은 계절의 흐름, 즉 四時의 순환을 論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大運地支의 흐름은 調喉의 완성과 밀접하게 연계된다. 가령 巳月 甲木은
 
□甲□□
□□巳
 
亥子丑 北方 水運으로 흘러야 富貴를 기약할 수 있고, 南方運을 향하면 貧苦를 면키 어려울 것이다. 다음으로 大運의 天干은 格局의 成格과 變格을 주관하여 格局의 成敗와 연관되므로 相神이 되는 글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地支도 會局으로 인해 格局의 成敗와 연관되므로 간과해선 안 된다.
 
□甲□□
□□巳
 
大運의 運干 癸水로 인해 傷官佩印(상관패인)으로 成格되면 한정된 富貴가 發할 것이다. 이와 같이 大運法의 기본은 모두 體의 用으로 완성되는데 어찌 일반적인 扶抑의 코드로만 喜忌를 가릴 것인가. 더욱이 10년 大運을 干支로 적당히 쪼개 喜忌成敗를 가늠하는 아마추어적 관법으로는 학습자의 미래가 불투명해진다. 결론적으로 大運은 體神의 용법으로 판독하는 게 급선무고, 用의 영역에 속하는 부분은 미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四線, 命運과 歲月로 나뉘는 용법에 대해 말하겠다. 命運이란 八字와 大運의 體를 의미하고, 歲月은 歲年을 비롯한 매시의 구분이 되는 用을 뜻한다. 이때는 오직 扶抑之神이 主가 된다. 가령 丁巳月의 甲木 日干은 身弱格이 되기 쉬우므로 印綬 水의 자부(滋扶)와 同氣 木의 원조를 희구(希求)한다.
 
□甲丁
□□巳
 
차명(此命)과 같은 傷官格은 대개 歲月의 壬癸水와 甲乙木을 반길 것이다. 이때 癸水를 두고 格局의 成格이나 調喉를 거론해선 곤란하다. 단지 扶抑을 통한 균형의 묘(妙)를 살릴 뿐이다.
 
나이스명리 펌
 
 
출처 :가교철학원 원문보기   글쓴이 : 가교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17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17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3.143.239.63'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