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行으로 보는 귀천상(貴賤相)
페이지 정보
본문
오행으로 보는 귀천은 생왕의 범위를 벗어나기 어렵다.
- 금목수화토를 오행이라고 한다.
- 어느 것이 크거나 작을 수 없으며
- 서로 짝을 이루지도 않고 정지되어 있지도 않으며
- 돌지도 아니하고 합하지도 아니한다.
- 왼쪽 귀는 금성이고, 오른쪽 귀는 목성이며, 이마는 화성이고, 입은 수성이며, 코는 토성이다.
- 이마가 높고 귀가 뒤집혀 있으면 화극금으로 부모의 재산이 모두 없어질 것이며
- 입이 크고 이마가 뾰족하면 수극화로 15세에 고통을 받게 되며
- 입이 크고 눈동자가 맑으며 이마 또한 높다면 영웅호걸로서 크게 존경을 받게 되고
- 코가 크고 입이 작으면 토극수로서 십삼사세에 고향을 떠나게 된다.
- 오행으로 하나의 극이 있으면 좋지 않은 상이며
- 하나의 상생이라도 얻으면 매우 좋다.
- 또 오관이라고 부르는 것이 있는데 눈썹은 보수관, 눈은 감찰관, 코는 심변관, 귀는 채청관,
입은 출납관이라고 말한다.
- 또 육부라고 부르는 것이 있는 데 천창은 이마의 좌우 부위이고, 관골은 광대뼈 좌우 부위이고,
지고는 턱의 좌우 부위를 말한다.
- 삼정이 균등하고 육부가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오관이 모두 반듯하면
스스로 큰 부귀를 얻을 상이다.
- 천창은 있는데 지고가 없다면 어릴 적은 좋아도 늙어서는 실패하게 되며
- 지고는 있는데 천창에 결함이 있다면 어릴 적은 고생을 해도 늙어서 영화롭게 되며
- 관골은 있는데 천창이나 지고가 없다면 역시 좋지 않으며 주로 고독하게 지낸다.
- 또 육요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자기(紫氣 : 북극성), 월패(月孛 : 북두칠성),
라(羅睺 : 일식때 보이는 별), 계(計都 : 월식때 보이는 별), 일(태양), 월(달)을 말한다.
출처 - blog.naver.com/sh5306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