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코’에서 건강은 ‘귀’에서
페이지 정보
본문
돈은 ‘코’에서 건강은 ‘귀’에서
![]() | |
관상학에서 콧방울은 재물, 배우자 등을 의미한다. 둥글고 볼륨감이 있으며, 코 벽의 두께가 있고 콧구멍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런 콧방울을 흔히 ‘복코’ 또는 ‘돈코’라고 부른다.
주선희 원광디지털대 얼굴경영학 교수는 최근 사망한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를 예로 들며 “코 자체는 뾰족하지만 콧방울이 빵빵해 재물이 있는 관상”이라고 말했다. 콧대에서는 명예운을 본다. 콧부리에서 코끝까지의 꺾임이 완만하게 이어지는 선이 좋은 명예운을 나타낸다.
광대는 사회에서 드러나는 자신의 힘을 드러낸다. 최 대표는 “과거에는 여성의 광대뼈가 두드러진 경우 지나치게 자아가 강하고 현모양처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요즘은 광대가 적당히 살아야 자신을 어필하고 경쟁에서 살아남는 관상이라고 볼 수 있다. 같은 관상이라도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관상학에서 귀는 ‘살아 있는 족보’라고 일컫는다. 귀에서 사람의 내력이 보인다는 것인데, 쉽게 말해 수명과 건강을 뜻한다. 귀는 크고 힘이 있는 것이 좋다. 두께가 있고 내·외륜이 가지런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건강이 좋지 않다는 증거다.
눈은 관상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관상학자들은 그만큼 눈을 통해 관상을 보는 것은 쉽지 않다고 한다. 눈은 정신 상태, 관운, 사회운 등 전반적인 운을 나타내는데, 주로 모양과 눈동자의 맑기를 본다.
눈빛이 맑은 것이 중요하며 모양은 남자의 경우 여자와는 다르게 가늘고 긴 눈이 더 좋다. 주 교수는 “역대 대통령을 보면 대부분 가늘고 긴 눈”이라며 “언뜻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지만 일을 열심히 하는 상이며 운을 부른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쌍꺼풀이 한쪽 눈에만 있으면 사회성이 높음을 뜻한다.
입은 그 사람의 그릇과 포부를 나타낸다. 이는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량의 크기를 말하는데 사업가라면 사업의 규모가 결정된다. 크면 클수록 좋다. 입술은 지성을 나타낸다. 입술선이 얇고 내려가면 지성미가 있고, 두텁고 올라가면 지성보다는 관능미가 있다고 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