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明堂) 오행론(五行論) - 수(水)
페이지 정보
본문
수(水)
성숙한 과일이나 참깨를 짜면 꿀과 같은 단물과 기름이 나온다. 만물이 먹고 사는 생명수이다. 쌀이나 밀이나 보리나 생선이나 고기를 먹는 것도 따지고 보면 그 물체 속에 있는 영양소인 생명수를 흡수하고 섭취하기 위해서다.
수(水)는 북방(北方)에 위치한다. 그래서 북방은 춥고 어둡다. 한 랭한 지대이기 때문에 농사가 어렵고 동물 사냥에만 의존함으로써 처음부터 산짐승과 싸우는 수렵과 짐승을 치는 방목(放牧)으로 생활해 왔다.
사람은 강자가 우선이다. 약자는 자연도태되고 강자만이 생존하고 발전할 수 있다. 짐승을 사냥하던 포수는 점차 먹이가 부족하자 남방의 경작인을 사냥하는 무장강도로 변화되었고 그 무장강도는 무장된 군대로 조직화하여 마침내 전쟁의 씨를 뿌리게 되었다.
남방의 문화와 평화와 자유를 짓밟은 침략자와 파괴자들은 모두 북방에서 남하한 유목민들이며 그러한 기질은 남하정책이 최대의 목표가 되기도 했다.
물은 불처럼 밝고 높이 치솟는 것이 아니고 땅에 엎드려 기어가는 도둑처럼 땅에 밀착하여 소리 없이 흐름으로써 발뒤꿈치에 닿을 때까지도 알 수가 없다. 슬며시 와서 갑자기 휩쓰는 것이 마치 도둑과 같다. 그래서 물을 밤도둑과 침략군대의 별명인 현무(玄武)라고 일컫는다.
물은 해가 지고 다시 뜨는 사이의 암흑과 밤 그리고 눈보라치는 겨울과 방 안에서 누워 있는 노년기에 해당한다. 밤과 암흑과 겨울과 노인은 모두가 장막에 싸이고 울에 갇혀 있는 형태로서 햇빛과 평화와 자유가 없다. 살려면 머리를 써야 하고 꾀가 많은 사람만이 승리하고 잘살 수 있다. 그래서 수(水)는 지혜를 뜻하기도 하고 권모술수로 이해하기도 한다
수(水)는 북방(北方)에 위치한다. 그래서 북방은 춥고 어둡다. 한 랭한 지대이기 때문에 농사가 어렵고 동물 사냥에만 의존함으로써 처음부터 산짐승과 싸우는 수렵과 짐승을 치는 방목(放牧)으로 생활해 왔다.
사람은 강자가 우선이다. 약자는 자연도태되고 강자만이 생존하고 발전할 수 있다. 짐승을 사냥하던 포수는 점차 먹이가 부족하자 남방의 경작인을 사냥하는 무장강도로 변화되었고 그 무장강도는 무장된 군대로 조직화하여 마침내 전쟁의 씨를 뿌리게 되었다.
남방의 문화와 평화와 자유를 짓밟은 침략자와 파괴자들은 모두 북방에서 남하한 유목민들이며 그러한 기질은 남하정책이 최대의 목표가 되기도 했다.
물은 불처럼 밝고 높이 치솟는 것이 아니고 땅에 엎드려 기어가는 도둑처럼 땅에 밀착하여 소리 없이 흐름으로써 발뒤꿈치에 닿을 때까지도 알 수가 없다. 슬며시 와서 갑자기 휩쓰는 것이 마치 도둑과 같다. 그래서 물을 밤도둑과 침략군대의 별명인 현무(玄武)라고 일컫는다.
물은 해가 지고 다시 뜨는 사이의 암흑과 밤 그리고 눈보라치는 겨울과 방 안에서 누워 있는 노년기에 해당한다. 밤과 암흑과 겨울과 노인은 모두가 장막에 싸이고 울에 갇혀 있는 형태로서 햇빛과 평화와 자유가 없다. 살려면 머리를 써야 하고 꾀가 많은 사람만이 승리하고 잘살 수 있다. 그래서 수(水)는 지혜를 뜻하기도 하고 권모술수로 이해하기도 한다
출처 : 좋은집터 - blog.naver.com/agit3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