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당(明堂) - 오행(五行)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페이지 정보
본문
오행(五行)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앞에서 음양오행의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명당으로 만드는 데 있어서 음양오행을 이해하고 음의 기운이 강하면 양(陽)의 기운을 가해서 음(陰)의 기운을 감하고, 오행에서도 균형을 이루도록 배려하는 것이 곧 기를 안정시키고 좋은 기를 만들어 내게 되는 것이다. 안정감을 싫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듯이 안정된 곳에서 좋은 기가 분출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명당으로 바뀌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오행상생이란 목(木)은 화(火)를 생(生)하고(木生火), 화는 토를 생하고(火生土), 토는 금을 생하고(土生金), 금은 수를 생하고(金生水) 수는 목을 생한다(水生木). 이는 불의 원천은 바로 나무에서 나오게 되며 나무는 자신을 희생해서 불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불은 자신을 희생해서 흙을 만들어 내는데 불이 타고 난 뒤에는 재가 남는데 이것이 곧 토이다. 토는 만물의 열매인 金을 만들어 내는 원천이 되고 금은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열매를 짜면 수(水)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금(金)은 돌이라고 볼 수 있는데 돌에는 그 차가운 성질에 의해 결로(結露)현상에 의해 물이 맺히게 한다. 그래서 금(金)은 수(水)를 생(生)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오행상극이란 금(金)은 목(木)을 극하고(金克木), 목(木)은 토(土)를 극하고(木剋土), 토는 수를 극하고(土剋水), 수는 화를 극한다(水剋火). 이는 아무리 강한 나무라도 금속으로 만든 칼 앞에서는 넘어지게 되어 있고, 나무는 그 뿌리를 땅에 박는데 단단한 땅도 나무뿌리에는 견디기 힘들어지며, 흙은 물을 가두어 둔다. 바다도 결국 흙에 갇혀 있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는 것이며 불은 물에 의해 꺼지기 마련이다.
이와 같이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원리를 이해하면 명당 만들기에 있어서 강한 것은 상극의 원리로 그 강함을 줄이고, 약한 것은 상생의 원리로 그 약함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오행상생이란 목(木)은 화(火)를 생(生)하고(木生火), 화는 토를 생하고(火生土), 토는 금을 생하고(土生金), 금은 수를 생하고(金生水) 수는 목을 생한다(水生木). 이는 불의 원천은 바로 나무에서 나오게 되며 나무는 자신을 희생해서 불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불은 자신을 희생해서 흙을 만들어 내는데 불이 타고 난 뒤에는 재가 남는데 이것이 곧 토이다. 토는 만물의 열매인 金을 만들어 내는 원천이 되고 금은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열매를 짜면 수(水)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금(金)은 돌이라고 볼 수 있는데 돌에는 그 차가운 성질에 의해 결로(結露)현상에 의해 물이 맺히게 한다. 그래서 금(金)은 수(水)를 생(生)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오행상극이란 금(金)은 목(木)을 극하고(金克木), 목(木)은 토(土)를 극하고(木剋土), 토는 수를 극하고(土剋水), 수는 화를 극한다(水剋火). 이는 아무리 강한 나무라도 금속으로 만든 칼 앞에서는 넘어지게 되어 있고, 나무는 그 뿌리를 땅에 박는데 단단한 땅도 나무뿌리에는 견디기 힘들어지며, 흙은 물을 가두어 둔다. 바다도 결국 흙에 갇혀 있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는 것이며 불은 물에 의해 꺼지기 마련이다.
이와 같이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원리를 이해하면 명당 만들기에 있어서 강한 것은 상극의 원리로 그 강함을 줄이고, 약한 것은 상생의 원리로 그 약함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생평면도(相生平面圖),상극평면도(相剋平面圖),사상(四象)

출처 : 좋은집터 - blog.naver.com/agit3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