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5 (금)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양택의 개요 및 원리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풍수에서 물은 매우 중요하다

페이지 정보

본문

 용맥 뿐만 아니라 물의 형상에도 좋고 나쁨이 있다. 우선 음양의 조화를 위해 산세와 적정한 비율을 가진 물이어야 좋다. 즉 산세에 비해 물이 지나치게 양이 많으면 독양(獨陽)이라 하여 마치 홀아비가 사는 격이고, 또 산세에 비해 물의 양이 적으면 독음(獨陰)이라 하여 과부가 혼자 사는 격이다.

위의 두 경우는 모두 생명을 탄생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연못이나 저수지를 만들어 혈 앞쪽에 물을 가두거나 수로 공사를 하여 물의 흐름을 바꾸면 자연의 순리를 거역하는 일이라 음양의 조화가 파괴된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고인 물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고인 물이라면 해석이 다르다. 혈장 앞쪽에 물이 자연스럽게 고인 연못이 있으면 재복이 크다고 한다.

둘째는 물의 흐름이 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유심히 살필 필요가 있다. 혈에서 보아 물이 빠지는 모습이 산자락 끝을 걸려 그 끝이 보이지 않아야 좋으며, 혈을 감싸안고 흐르는 금성수(金星水)는 부귀가 길이 쉬지 않아 중국의 석숭(石崇)처럼 큰 부자가 된다. 또 허리에 벨트를 찬 것처럼 흐르면 귀함이 치렁치렁 열린다고 한다.

물이 혈장을 향해 거꾸로 오는 역수(逆水)는 재물이 들어오는 것으로 보아 길격이다. 하지만 물이 혈 앞쪽으로 곧게 뻗어 나가거나 물길이 혈장을 등지고 흐르거나, 높은 암벽에서 곧바로 떨어지는 폭포 등은 매우 흉하여 주변에는 혈을 잡지 않는다. 즉 현장의 무덤에서 바라보아 혈 앞쪽으로 물이 끝간데 없이 뻗어 나가면 재물이 몽땅 빠져나가 가난뱅이를 면치 못한다는 해석이다.

물의 길흉은 형상보다는 이기적으로 감결해야 정확하다. 아무리 형상적으로 좋은 물이라도 이기적으로 흉하면 안된다. 먼저 풍수의 격언에 “좋은 물을 먹고 찌꺼기를 배설하라.”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다분히 물을 이기론 적으로 설명한 말이다. 즉 진혈을 이루려면 득수는 좋은 방향에서 오고 파는 흉한 방향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럼 길한 방향은 어디인가? 양수(養水)·장생수(長生水)·관대수(冠帶水)·임관수(臨官水)·제왕수(帝旺水)가 이에 해당된다. 정생향(正生向)은 우측의 제왕방·장생방에서 물이 시작하여 혈을 감싸돌고는 다시 흉한 방위인 묘방(墓方)으로 나가면 후손과 재물이 모두 왕성한 것이고, 정왕향(正旺向)은 좌측의 양수가 묘방(墓方)으로 나가면 장사 후에 힘을 얻어 횡재한다고 한다.
묘향(墓向)은 좌측의 관대수가 절방(絶方)으로, 양향(養向)은 우측의 임관수·관대수·장생수가 합쳐져 절방(絶方)으로 나가면 부귀가 사방에 가득하다. 여기서 향(向)을 논했는데 조금 어렵더라도 그냥 그런 것이 있다고 생각하고 넘어가기를 권한다. 요점은 어떤 경우든 물은 좋은 방향에서 와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이기상 병(病), 사(死), 묘(墓)의 방위에서 물이 시작되면(얻으면) 다 큰자식이 죽고 재물과 곡식이 비어 가난해진다. 그리고 절태수(絶胎水)가 혈 앞으로 들어오면 아이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다시 한번 확인하지만 물은 길한 방향에서 득수하여 빠지는 곳은 사국(四局)의 흉방인 묘방, 절방, 태방 중의 하나로 빠져야 한다.

주의할 것은 물은 패철 8층(외반봉침)의 천간(天干) 구획으로 빠져야 좋지, 만약 지지(地支) 구획으로 빠지면 부귀는 반으로 줄어든다고 한다.

예를 들어 수국의 묘방으로 물이 빠질 때, 을자(乙字)는 천간이고 진자(辰字)는 지지이니, ‘진’자 보다는 ‘을’자로 물이 빠져야 발복이 월등하다. 이것을 풍수는 천간파(天干破)가 지지파(地支破)보다 이기 상으로 훨씬 좋다고 말한다.

또 풍수는 물이 빠지는 수구(水口)의 모양새로도 길흉화복을 감결하는데, 먼저 혈을 감싼 주변의 형국은 비록 넓더라도 물이 빠지는 수구의 모양새는 배가 다닐 수 없을 정도로 좁아야 좋다고 한다. 즉 청룡과 백호가 서로 유정하게 가까이 다가 섰거나, 한쪽이 다른 쪽을 감싸 안은 형태이면 좋은 모습이다.

또한 물체를 닮은 돌이나 바위가 수구부분을 가로막고 서거나 우뚝 서 있으면 좋은데, 새의 모양을 닮은 돌이[금성(禽星)] 수구를 막고 있으면 한림학사(翰林學士)가 태어난다. 도장같은 생긴 돌이 있으면 문장이 빛나고, 사자의 형상이 수구를 지키면 장원급제가 나며, 일월(日月)같은 돌이 서 있으면 공후장상(公侯將相)이 나온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물의 길흉은 이기론적으로 감결해야 옳으며, 각 향(向)에 맞는 방위에서 정확하게 물을 얻고, 그 물이 혈을 둥글게 감싸 흐른 뒤에는 각국의 천간자로 빠지면 최고로 친다.
 
 
 
 
출처 : 風水地理(풍수지리) - blog.daum.net/choitj1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246건 86 페이지
  • RSS
양택의 개요 및 원리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971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6 09-29
970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4 09-29
969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 09-29
열람중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8 09-29
967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 09-29
966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5 09-29
965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8 09-29
964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46 09-29
963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9 09-29
962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 09-29
961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1 09-29
960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8 09-29
959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 09-29
958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5 09-29
957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 09-29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7-25 강철* (男) 사주
07-23 권다* (女) 사주
07-22 임정* (男) 궁합
07-21 장재* (男) 작명,개명
07-19 선병* (男) 궁합
07-18 서혜* (女) 사주
07-16 박선* (男) 택일
07-14 이태* (男) 사주
07-11 이정* (女) 사주
07-10 정연* (女) 궁합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41542]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32213]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6757]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36562]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41011]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40318] 2
아들의 외고합격 [460666] 2
젊은 여성의 임신 [393273] 1
재벌 회장의 사주 [449516] 2
유명가수의 사주 [444127] 1
보험설계사 [40262]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74806]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65642]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화**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접속자 352명 (회원:1 / 손님: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