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자리에 수맥 흐르면 자손들 생명까지 위협
페이지 정보
본문
풍수는 자연의 원리에 순응하는 데 목적을 두고 논해야 한다. 패철로 12간지와 향을 살피는 것은 자연이 올바로 있을 때나 통하던 방식이다.
난개발 때문에 국토가 어지러워진 요즘에는 전통적 정론 풍수를 고수한다는 것은 정답이 아닐 것이다.
묘를 쓸 때는 수맥을 피해야만 한다. 수맥이 흐르는 방향은 곧 향이 된다. 어느 곳이든 물이 흐르는 천이 있었던 곳이나 지금도 흐르는 곳으로수맥의 방향이 서 있다.
묘에 묻힌 시신으로 수맥이 지나가면 자손에게 반드시 해악이 미친다.
수맥이 흐르면 유골이 삭아 끊어지고 만다. 또 건수가 돼 물이 괴면 유골이 썩지도 않을 뿐더러 황골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자손이 병이 들거나 사고를 당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고 만다.
하지만 묘소의 봉분이 꺼지고 잔디가 죽는다고 무조건 이장을 할 것은아니다. 수맥만 피해 바로 옆으로 이동해 주면 큰 문제 없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불과 몇 ㎝ 차이인 경우도 허다하다.
조상에게 제를 올리는 행위는 머리에서 발산되는 뇌의 파장 에너지(뇌파)와 연관이 깊다. 그러나 뇌파는 수맥파의 에너지보다 훨씬 파워가 약하다. 따라서 수맥이 흐르는 곳에 묘를 쓴 후 성심껏 기일을 챙기면서 후손이 번창하기를 원한다면 번지수를 잘못 짚은 것이다.
난개발 때문에 국토가 어지러워진 요즘에는 전통적 정론 풍수를 고수한다는 것은 정답이 아닐 것이다.
묘를 쓸 때는 수맥을 피해야만 한다. 수맥이 흐르는 방향은 곧 향이 된다. 어느 곳이든 물이 흐르는 천이 있었던 곳이나 지금도 흐르는 곳으로수맥의 방향이 서 있다.
묘에 묻힌 시신으로 수맥이 지나가면 자손에게 반드시 해악이 미친다.
수맥이 흐르면 유골이 삭아 끊어지고 만다. 또 건수가 돼 물이 괴면 유골이 썩지도 않을 뿐더러 황골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자손이 병이 들거나 사고를 당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고 만다.
하지만 묘소의 봉분이 꺼지고 잔디가 죽는다고 무조건 이장을 할 것은아니다. 수맥만 피해 바로 옆으로 이동해 주면 큰 문제 없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불과 몇 ㎝ 차이인 경우도 허다하다.
조상에게 제를 올리는 행위는 머리에서 발산되는 뇌의 파장 에너지(뇌파)와 연관이 깊다. 그러나 뇌파는 수맥파의 에너지보다 훨씬 파워가 약하다. 따라서 수맥이 흐르는 곳에 묘를 쓴 후 성심껏 기일을 챙기면서 후손이 번창하기를 원한다면 번지수를 잘못 짚은 것이다.
출처 : 風水地理(풍수지리) - blog.daum.net/choitj1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