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북악산 아래 세종로 1번지는 명실 공히 대한민국 1번지다. 여기에 세워진
「집」 청와대는 그냥 단순한 집이 아니다. 이 집의 吉凶(길흉)은 그대로 대한민국의
길흉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 나라 최고 權府(권부)인 청와대에 풍수지리학적인
접근과 조명을 던져 보는 것이 적절한 순서라고 생각된다. 청와대의 주인은 없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국민이 주인이다. 국민이 주인인
이 집에 국민의 손으로 뽑은 대통령이 정해진 기간 동안 머물다가 떠난다. 먼저 청와대라는 집을 살펴보고 이 집에 세들어 살다 떠난 사람들의 개인적인
풍수지리학적인 요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청와대는 名堂인가? 풍수지리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본 청와대는 凶家(흉가)에
가깝다. 고려시대 離宮에서 조선총독의 관저로 청와대의 뿌리는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 숙종 9년 현재의 청와대
자리에 南京(남경)의 離宮(이궁)을 세웠다. 조선조 태조 4년에 正宮(정궁)인
景福宮(경복궁)이 創建(창건)되면서 이곳은 경복궁의 後園(후원)으로 사용되었다. 고종 때 경복궁이 重建(중건)된 후 지금의 청와대 자리에는 中日閣(중일각)·
五雲閣(오운각)·隆文堂(융문당)·景武臺(경무대)·隆武堂(융무당)·春安堂(춘안당)
등의 건물이 지어졌다. 용도는 대개 과거장·관농장·연무장으로 사용됐는데,
경무대는 과거장으로 사용됐다. 日帝는 조선의 正宮인 경복궁의 일부에 총독부 청사(철거된 중앙청)를 지었다.
아울러 총독 관저를 경복궁의 머리 위에 올려놓고, 풍수상 조선의 용맥을 완전히
끊어 버리기 위해 현재의 청와대 자리에 총독 관저를 신축했다. 이때가 1939년으로 6代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南次郞)가 첫 주인이었다.
미나미 총독은 총독 관저를 옛 이름 그대로 「경무대」라 불렀으나,
태평양 전쟁이 확대되고 식민정책이 강화되면서 이 건물의 이름은 경무대 대신
「조선총독관저」로 불렸다. 총독 관저 시절의 마지막 주인(마지막 조선총독) 아베 노부유키(阿部信行)는
1945년 9월 총독부(중앙청) 제1회의실에서 美24사단장 하지 中將에게 항복문서에
도장을 찍어 주고 日帝 관리들과 함께 이 땅을 떠났다. 日帝가 남산에 있던 총독 관저를 경복궁 주변으로 옮기기로 결정하고 터를
물색하면서 당시 활약하던 한국의 유명 풍수들을 동원하여 의견을 물었다고 한다.
이때 한국인 풍수들은 용맥에서 아래쪽으로 조금 벗어난 엉뚱한 지점을 名堂으로
지목하여 천거했고, 그 때문에 총독 관저는 名堂이 아닌 엉뚱한 자리에 앉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경무대가 名堂 아닌 엉뚱한 자리에 앉았기 때문이었을까? 이 집의 주인들은
하나같이 뒤끝이 좋지 못했다. 항복문서에 도장을 찍고 목숨만 연명하여 쫓겨간
조선총독과 그 수하들은 말할 것도 없고, 이후 신생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
경무대의 주인이 된 사람들이 하나같이 불운했다.
/ 金聖洙 尋穴名堂硏究所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