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납 노하우
페이지 정보
본문


세탁소에서 드라이클리닝을 해 비닐커버에 씌어온 옷을 그대로 옷장에 넣어두는 것은 좋지 않다. 세탁소에서 가져온 옷은 증기가 완전히 빠지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세탁소에서 옷을 찾아오면 반드시 비닐을 벗겨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건조시킨 다음 옷장에 넣어둔다. 비닐커버를 씌우면 공기가 통하지 않아 습기가 차서 옷 색깔이 변하기 쉬운 반면 부직포로 된 옷 덮개는 공기도 잘 통하고 더러움도 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옷을 개켜 서랍에 둘 때 우선 서랍 바닥에 신문지 한 장을 깐 다음 옷을 넣고 다시 신문지 한 장을 덮어 두면 따로 방충제를 넣어 두지 않아도 된다. 신문지의 잉크에 방충효과가 있어 벌레나 먼지가 끼지 않고, 요즘 신문의 잉크는 묻어나지 않으므로 걱정할 필요 없다.
옷장서랍에 옷을 나누어 보관할 때는 자주 입는 옷은 아랫서랍에 두고 잘 안 입는 옷을 윗서랍에 두는 것이 좋다. 아랫서랍은 습기가 쉽게 차니 자주 서랍을 여닫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섬유끼리 모아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비교적 습기에 강한 무명 · 합성섬유는 맨 밑, 모직은 중간, 실크 종류는 맨 위 등으로 보관하면 오래 두어도 옷이 상할 염려가 없다.
스타킹 끼워 두면 효과.
옷을 깨끗하고 손쉽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옷을 개어 보관한 후 입으려고 꺼냈을 때 접힌 자국이 나있는 경우가 많다.
다림질할 시간이 없을 때는 당황하게 된다.
옷을 개어 보관할 때 미리 못쓰는 스타킹을 접힌 자리에 끼워두면 자국이 나지 않는다.
흰옷은 유난히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개켜서 서랍장에 넣어두는 것보다 옷걸이에 걸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먼지가 타지 않도록 비닐을 씌워두는 경우가 많은데 공기가 통하지 않으면 오히려 옷이 더 상할 수 있다. 반드시 공기가 통하게 하자.
옷을 종이에 싸거나 종이봉투에 넣어 둘 때 흰색 종이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흰 종이는 대개 흰색을 내기 위해 표백분이나 아황산 등을 사용하는데 그 약품이 옷감을 상하게 할 수 있다. 옷을 종이로 싸둘 때는 표백하지 않은 갈색이나 누런색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방충제 냄새를 빨리 없애야 한다면 스팀다리미의 증기를 쐬는 것이 제일 좋다. 섬유에 밴 냄새가 증기와 함께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선풍기 바람을 쏘이면서 헝겊을 대고 다림질 하거나 헤어드라이어로 온풍을 쐬어주어도 냄새가 사라진다.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는 커다란 비닐봉지에 옷과 냉장고용 탈취제를 넣고 밀봉한 뒤 하룻밤쯤 지나면 냄새가 제거된다. 수증기가 가득한 욕실에 걸어두거나 바람이 잘통하는 곳에 옷을 널어 충분히 바람을 쐬어주어도 냄새를 없앨 수 있다.
- 라벨르 발췌 -
출처 : 인테리어 - blog.naver.com/separa7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