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택론
페이지 정보
본문
풍수지리학은 원래 지모사상(地母思想)에서 나왔습니다.
이 지모사상은 비단 풍수지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자연을 숭상하는 종교적 신앙심과도 일맥상통하여 어느 누구에게도 내면 깊숙이 잠재된 것 입니다.
이런 지모사상을 근본으로 사람은 자연에 의하여 태어나고 자연 속에서 살아가게 되므로 자연을 두려워하며, 자연의 뜻을 받들어 살아가야 합니다.
“순천자(順天者)는 흥하고 역천자(逆天者)는 망한다”고 하여 자연을 절대시했습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행위는 자연의 뜻에 따라야 하고, 건축도 사람의 필요에 의해 하지만 그 건물이 자연을 거슬려서는 안 됩니다.
우리 조상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아름다운 산천의 길지를 찾아서 살던 곳은 풍수지리적으로 보아 크고 작은 명당지역이었습니다.
우리 인간은 자연을 벗어나서는 살 수 없으므로 자연의 뜻에 따라 따뜻하고 물 있는 곳에 집터(陽氣)를 잡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또 부모를 모시기 위하여 따뜻하고 양지바른 곳을 찾는 일을 중요하게 여겨 우리 선조들은 풍수지리를 숭상하게 되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양기와 묏자리(陰地)를 연구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풍수지리학을 크게 나누어 음택과 양택으로 구분합니다.
음택은 묏자리에 국한되지만, 양택은 공간규모에 따라 크게는 도읍터와 마을터가 있고, 작게는 주택이나 사찰 등지로 구분되며,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적용되는 것입니다. 음택은 돌아가신 선조가 편히 쉬는 유택(幽宅)이요, 양택은 그 자손이 생활하는 가옥을 말합니다.
음택과 양택 중에 음택지에는 집을 지을 수 있으나 양택지에는 뫼를 쓸 수 없습니다. 음택지나 양택지에는 지기와 태양의 에너지가 복합되어있어 음택지에 집을 지을 수 있는 면적이 되면 양택지로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지모사상은 비단 풍수지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자연을 숭상하는 종교적 신앙심과도 일맥상통하여 어느 누구에게도 내면 깊숙이 잠재된 것 입니다.
이런 지모사상을 근본으로 사람은 자연에 의하여 태어나고 자연 속에서 살아가게 되므로 자연을 두려워하며, 자연의 뜻을 받들어 살아가야 합니다.
“순천자(順天者)는 흥하고 역천자(逆天者)는 망한다”고 하여 자연을 절대시했습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행위는 자연의 뜻에 따라야 하고, 건축도 사람의 필요에 의해 하지만 그 건물이 자연을 거슬려서는 안 됩니다.
우리 조상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아름다운 산천의 길지를 찾아서 살던 곳은 풍수지리적으로 보아 크고 작은 명당지역이었습니다.
우리 인간은 자연을 벗어나서는 살 수 없으므로 자연의 뜻에 따라 따뜻하고 물 있는 곳에 집터(陽氣)를 잡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또 부모를 모시기 위하여 따뜻하고 양지바른 곳을 찾는 일을 중요하게 여겨 우리 선조들은 풍수지리를 숭상하게 되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양기와 묏자리(陰地)를 연구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풍수지리학을 크게 나누어 음택과 양택으로 구분합니다.
음택은 묏자리에 국한되지만, 양택은 공간규모에 따라 크게는 도읍터와 마을터가 있고, 작게는 주택이나 사찰 등지로 구분되며,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적용되는 것입니다. 음택은 돌아가신 선조가 편히 쉬는 유택(幽宅)이요, 양택은 그 자손이 생활하는 가옥을 말합니다.
음택과 양택 중에 음택지에는 집을 지을 수 있으나 양택지에는 뫼를 쓸 수 없습니다. 음택지나 양택지에는 지기와 태양의 에너지가 복합되어있어 음택지에 집을 지을 수 있는 면적이 되면 양택지로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양택론 - http://cafe.naver.com/kimyoooo/186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