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운 돌은 길(길)하고 서있는 돌은 흉상
페이지 정보
본문
누운 돌은 길(길)하고 서있는 돌은 흉상
흙과 돌 중에서도 돌은 길흉의 결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물론 암석에도 음양(음양)이 있어 흙 속에 묻혀 있는 것은 음석(陰石)으로 지하석을 말하며, 양석은 흙 위에 있는 지상석을 의미한다. 또 길과 흉으로 나누어 보면 길암은 보기 좋은 형태를, 흉암은 보기 흉한 것을 지칭한다.
돌은 사람이 임의로 만들어 세운 석물도 길흉의 의미를 지니며 더욱이 자연석을때는 그 심도가 크다.
자연석은 묘소에서 보았을 때 전후 좌우 어느 위치에 속하느냐 하는 방향과 어떤 물형(物形)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길흉이 달리 나타난다. 반대로 암석인 경우 누운 돌은 무난해서 길한 편으로 보나 서있는 것은 흉상으로 간주한다. 특히 좋지 않은 방위에 위치해 있거나 뾰족뾰족해서 창끝이나 칼날 같은 바위가 묘자리를 향해서 찌르는 것같이 배치되어 있으면 좋지 않다. 또 돌의 높이가 한 자(一尺)이하는 별 상관이 없지만 두자 또는 세 자 이상 되는 것은 꼭 길흉을 따져 보아야 한다.
수원 배씨의 묘에서 하얀돌이 시신에 관련되어 후손에게 미친 영향을 생각하면 암석의 의미를 그냥 넘겨버릴 수만은 없는 것이다.
특히 암석의 형태를 중요시하는 것은 만물은 형상이 있으며, 그 형상에 따라 그에 맞는 기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호랑이 형태는 호랑이의 기상이 있으며, 쥐 모양은 쥐의 성질이, 돼지 모양은 돼지의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모든 물체는 천지의 기(氣)와 이(理)가 있는데 그 기와 이는 외형에 상응한다는 이론으로 암석도 길과 흉을 논할 수 있다
산과 물. 바람 등이 주관적인 관찰에 치우 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그 길흉도 얘기하기 나름이지만 흙과 돌은 길흉의 확실한 증거가 될 수 있다.
흙과 돌 중에서도 돌은 길흉의 결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물론 암석에도 음양(음양)이 있어 흙 속에 묻혀 있는 것은 음석(陰石)으로 지하석을 말하며, 양석은 흙 위에 있는 지상석을 의미한다. 또 길과 흉으로 나누어 보면 길암은 보기 좋은 형태를, 흉암은 보기 흉한 것을 지칭한다.
이암석만으로도 산의 성격을 알 수 있으며 그 기색으로 산의 생사(생사)를 판별한다
옛 지리서(地理書)에 따르면 묘자리는 '토산지하 석산이혈(石山之下 土山而穴)'이라는 말도 있다. 이는 바위가 없는 흙산에는 바위가 있는 곳이 명당이요, 돌산에는 흙이 있는 자리가 명당이라는 뜻으로 흙과 돌이 적당히 있어야 함을 암시한다.
옛 지리서(地理書)에 따르면 묘자리는 '토산지하 석산이혈(石山之下 土山而穴)'이라는 말도 있다. 이는 바위가 없는 흙산에는 바위가 있는 곳이 명당이요, 돌산에는 흙이 있는 자리가 명당이라는 뜻으로 흙과 돌이 적당히 있어야 함을 암시한다.
돌은 사람이 임의로 만들어 세운 석물도 길흉의 의미를 지니며 더욱이 자연석을때는 그 심도가 크다.
자연석은 묘소에서 보았을 때 전후 좌우 어느 위치에 속하느냐 하는 방향과 어떤 물형(物形)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길흉이 달리 나타난다. 반대로 암석인 경우 누운 돌은 무난해서 길한 편으로 보나 서있는 것은 흉상으로 간주한다. 특히 좋지 않은 방위에 위치해 있거나 뾰족뾰족해서 창끝이나 칼날 같은 바위가 묘자리를 향해서 찌르는 것같이 배치되어 있으면 좋지 않다. 또 돌의 높이가 한 자(一尺)이하는 별 상관이 없지만 두자 또는 세 자 이상 되는 것은 꼭 길흉을 따져 보아야 한다.
수원 배씨의 묘에서 하얀돌이 시신에 관련되어 후손에게 미친 영향을 생각하면 암석의 의미를 그냥 넘겨버릴 수만은 없는 것이다.
특히 암석의 형태를 중요시하는 것은 만물은 형상이 있으며, 그 형상에 따라 그에 맞는 기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호랑이 형태는 호랑이의 기상이 있으며, 쥐 모양은 쥐의 성질이, 돼지 모양은 돼지의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모든 물체는 천지의 기(氣)와 이(理)가 있는데 그 기와 이는 외형에 상응한다는 이론으로 암석도 길과 흉을 논할 수 있다
출처 : 누운 돌은 길(길)하고 서있는 돌은 흉상 - cafe.daum.net/2548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