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출림형은 뱀의 귀 부분이 명당
페이지 정보
본문
생사출림형은 뱀의 귀 부분이 명당
사람. 금수. 용 등의 모습으로 자세를 설명하는 형국론(形局論)은 풍수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쉽게 이해되어 지관들이 가장 많이 들먹이는 이론이다. 그러나 막상 그형국이란 것을 설명하려 하면 애매하다. 이를테면 '뱀이 먹이를 구하러 숲을 나오는 모습과 같다'는 생사출림형(生蛇出林形)인 경우 뱀의 어느 부위가 명당이고 왜 명당이며 어디가 나쁜가 하는 설명이 없다. 김혁규 씨는 이 형국론의 이치를 보면 우리 조상들이 사물을 보는 관점과 그 사물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고 전제하고 (생사출림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뱀이 먹일를 구하러 숲을 나선다면 뱀의 모든 신경(기)은 먹이를 찾기 위해 눈과 귀에 써리기 마련이므로 자연히 명당은 뱀의 귀 부분이 된다. 만약 입 부분에 묘를 쓰면 뱀이 먹이를 잡기 위해 독기가 입에 몰려 있는 판이므로 쓰자마자 집안식구가 해를 입거나 대가끊기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생사출림형)이 제대로 명당이 되려면 뱀의 입 부위 앞쪽에 개구리 형상이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 묘를 쓰면 귀한 인물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내용의 형국으로는 용이나 뱀이 모인다는 용사취회형(龍蛇聚會形), 아홉 마리 용이 여의주를 서로 가지려는 구룡쟁주형(九龍爭珠形)등을 들수 있다.
전남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 뒷산에 (용사취회형)이라는 길지가 있는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곳에 고려시대 한씨(韓氏)가 묘를 쓴 뒤 그 자손 중에 왕비가 다섯, 재상이 일곱명이 나왔으며 그 외에 고위관직 10여 명도 배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 선의면 수산봉에는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이라는 와우형(臥牛形)이 있다. 그곳에는 50여 년 전에 쓴 오성민의 묘가 있는데 묘자리가 명당이어서 선의면에 오씨들이 번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와우형)의 명당장리는 소가 누워서 되새김을 하기 때문에 기는입에 있다. 따라서 구중지혈(口中之穴)이라고 해서 입 부위에 묘를 쓰는 것이 최고 명당이며 다음은 소의 먹이가 되는 풀무덤형상이 있어야 하며 산은 오행으로 토(土)형상이며 무관이 나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럼 와우형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산중리에도 있는데 이곳에는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도 있다 목이 말라 물을 마시는 말의 형상이라는 이형국에서는 물을 마실 때 코로 먼저 냄새를 맡는다는 이치를 따져 코에 기가 모인다고 생각하여 코 부위가 명당자리가 된다. 역시 와우형과 같은 발목을 얻을 수 있다.
뱀이 먹일를 구하러 숲을 나선다면 뱀의 모든 신경(기)은 먹이를 찾기 위해 눈과 귀에 써리기 마련이므로 자연히 명당은 뱀의 귀 부분이 된다. 만약 입 부분에 묘를 쓰면 뱀이 먹이를 잡기 위해 독기가 입에 몰려 있는 판이므로 쓰자마자 집안식구가 해를 입거나 대가끊기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생사출림형)이 제대로 명당이 되려면 뱀의 입 부위 앞쪽에 개구리 형상이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 묘를 쓰면 귀한 인물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내용의 형국으로는 용이나 뱀이 모인다는 용사취회형(龍蛇聚會形), 아홉 마리 용이 여의주를 서로 가지려는 구룡쟁주형(九龍爭珠形)등을 들수 있다.
전남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 뒷산에 (용사취회형)이라는 길지가 있는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곳에 고려시대 한씨(韓氏)가 묘를 쓴 뒤 그 자손 중에 왕비가 다섯, 재상이 일곱명이 나왔으며 그 외에 고위관직 10여 명도 배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 선의면 수산봉에는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이라는 와우형(臥牛形)이 있다. 그곳에는 50여 년 전에 쓴 오성민의 묘가 있는데 묘자리가 명당이어서 선의면에 오씨들이 번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와우형)의 명당장리는 소가 누워서 되새김을 하기 때문에 기는입에 있다. 따라서 구중지혈(口中之穴)이라고 해서 입 부위에 묘를 쓰는 것이 최고 명당이며 다음은 소의 먹이가 되는 풀무덤형상이 있어야 하며 산은 오행으로 토(土)형상이며 무관이 나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럼 와우형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산중리에도 있는데 이곳에는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도 있다 목이 말라 물을 마시는 말의 형상이라는 이형국에서는 물을 마실 때 코로 먼저 냄새를 맡는다는 이치를 따져 코에 기가 모인다고 생각하여 코 부위가 명당자리가 된다. 역시 와우형과 같은 발목을 얻을 수 있다.
출처 : 생사출림형은 뱀의 귀 부분이 명당 - cafe.daum.net/2548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