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가 서향이고 동쪽에 암석 있으며 폐가
페이지 정보
본문
묘가 서향이고 동쪽에 암석 있으며 폐가
1. 동남방(辰巳方)에 있는 암석의 높이가 세 척 이상이면 장손이 요사한다.
2. 동북방(艮寅方)에 서 있는 돟이 있으며 앞 못 보는 자손이 난다.
3. 황천방(黃泉方)에 사람 시체 같은 바위가 누워 있으면 자손이 일찍 죽는다.
여기서 황천방이라 묘의 좌향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묘가 자좌오향(子座午向), 즉 정남향이면 황천방은 정남쪽에서 좌우로 약 10도 에 해당된다.
4. 묘(당판) 위에 이빨같은 돌이 뾰족뾰족 올라와 있으면 마누라가 죽고 집안이 망한다.
5. 묘의 향이 동쪽일 때 북쪽방(子丑方)에 암석이 있으면 남편이 죽고 처가 다른 곳으로 간다.
6. 묘가 서쪽향일 때 동쪽방(寅卯方)에 암석이 있으면 사람이 계속해서 죽으며 집이 망한다
7. 묘가 남향이고 암석이 묘의 서쪽방(申酉方)에 있으면 자손이 바람(음란)난다
8. 묘가 북향이고 묘에서 동쪽방에 암석이 있으면 많은 자손이 요사, 즉 일찍 죽는다. 또한 묘의 안산인 앞쪽 산에 바위가 층층으로 넓게 펼쳐 있으면 장님과 귀머거리 자손을 낳는다.
9. 묘의 좌청룡우백호를 관찰했을 때 청룡이 가늘게 들어와서 머리가 크게 올라와 있으면 서자가 제사를 지내게 된다. 그러나 만일 그 위에 암석이 있다면 그렇지 않다.
10. 청룡에 해당하는 산자락의 허리가 죽어 얕게 보이면 산넘어 물이 보이게 되는데 이를 월견수(越見水)라고 하며, 이런 형국이면 벙어리 자손이 나온다고 본다. 그리고 백호에 해당하는 산줄기가 돌아와서 묘자리와 부딪치는 형상을 하면, 즉 혈전에 충살(沖殺)하며 자손이 일찍 죽고 특히 충( )하는 끝이 암석이면 요사할 확률이 높다.
지리(地理) 고서(고서) <악수장(惡獸章)>에 있는 암석론에는 다음과 같은 흥미있는 구절도 있다.
1. 동남방(辰巳方)에 있는 암석의 높이가 세 척 이상이면 장손이 요사한다.
2. 동북방(艮寅方)에 서 있는 돟이 있으며 앞 못 보는 자손이 난다.
3. 황천방(黃泉方)에 사람 시체 같은 바위가 누워 있으면 자손이 일찍 죽는다.
여기서 황천방이라 묘의 좌향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묘가 자좌오향(子座午向), 즉 정남향이면 황천방은 정남쪽에서 좌우로 약 10도 에 해당된다.
4. 묘(당판) 위에 이빨같은 돌이 뾰족뾰족 올라와 있으면 마누라가 죽고 집안이 망한다.
5. 묘의 향이 동쪽일 때 북쪽방(子丑方)에 암석이 있으면 남편이 죽고 처가 다른 곳으로 간다.
6. 묘가 서쪽향일 때 동쪽방(寅卯方)에 암석이 있으면 사람이 계속해서 죽으며 집이 망한다
7. 묘가 남향이고 암석이 묘의 서쪽방(申酉方)에 있으면 자손이 바람(음란)난다
8. 묘가 북향이고 묘에서 동쪽방에 암석이 있으면 많은 자손이 요사, 즉 일찍 죽는다. 또한 묘의 안산인 앞쪽 산에 바위가 층층으로 넓게 펼쳐 있으면 장님과 귀머거리 자손을 낳는다.
9. 묘의 좌청룡우백호를 관찰했을 때 청룡이 가늘게 들어와서 머리가 크게 올라와 있으면 서자가 제사를 지내게 된다. 그러나 만일 그 위에 암석이 있다면 그렇지 않다.
10. 청룡에 해당하는 산자락의 허리가 죽어 얕게 보이면 산넘어 물이 보이게 되는데 이를 월견수(越見水)라고 하며, 이런 형국이면 벙어리 자손이 나온다고 본다. 그리고 백호에 해당하는 산줄기가 돌아와서 묘자리와 부딪치는 형상을 하면, 즉 혈전에 충살(沖殺)하며 자손이 일찍 죽고 특히 충( )하는 끝이 암석이면 요사할 확률이 높다.
출처 : 묘가 서향이고 동쪽에 암석 있으며 폐가 - cafe.daum.net/2548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