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전통가옥의 공기 및 氣의 최적순환
페이지 정보
본문
1. 전통가옥의 공기 및 氣의 최적순환 |
|
▪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복원시킴으로써 민족적 정서 함양 및 고취
▪ 우리 전통가옥에 대한 이러한 종횡비의 중요성을 제시한 이유
- 이런 축척을 가진 건물에서 기순환이 가장 순조롭게 일어남을 우리의 전통가에
관계된 古文獻은 주장
- 이러한 종횡비가 다른 가옥을 몇 개 지어서 기순환 체험장으로 만들어 알파파와
베타파와 같은 뇌파의 발생을 비교하여 주는 것은 매우 큰 의미 지님
- 우리 전통가옥의 가로와 세로의 비에 따른 거실의 구조가 '氣'의 흐름이 가장
원활한 종횡비(세로와 가로비)를 가졌다는 문헌적 記述에 대한 열 유체역학적인 檢討
[문헌적인 근거]
조선일보사에서 발간한 '한국인의 수첩‘가운데 전통가옥에 대한 부분을 발췌
- "구체적으로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기를 발산한다고 한다. 그 氣가 나가기만 한다면 탈진하고 말 터인데, 적당히 되돌아와 보충해 가면서 한결같이 기를 고르게 유지한다고
한다. 한마디로 氣가 對流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순환은 적절한 공간이 설정되어
있어야 방해받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관점에서 사람이 방의 중심에 앉았을 때 넓이는 좌우 7.5척씩 15척이 되어야 하며, 높이는 앉은키 2.5척에 평균 신장 5척을 더해 7.5척이 되게 천장을 만들어야 理想的인
氣의 순환이 可能해진다고 한다. 그래서 순환 空間이 알맞지 않아 만일 천장이 낮아지면
氣가 쇠하고 만다. 만사 의욕을 상실해간다. 반대로 천장을 높여주면, 기가 승해져
기고만장해진다고 한다. 비근한 例가 현대인의 집 천장도 한옥과 별 차이 없지만, 그
정도의 높이에 침대, 의자 등을 놓고 살기에 그만큼 천장이 낮아지며, 현대인들의 氣가
弱해진다고 한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