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3 (수)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양택의 개요 및 원리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하도와 낙서 (河圖와 洛書) - 낙서 (洛書)와 구궁도(九宮圖)

페이지 정보

본문

 낙서 (洛書)와 구궁도(九宮圖)
지금부터 4000년 전 중국 낙수(洛水)에서 신기한 거북이가 등에 지고 나온 그림이 있었다. 문왕(文王)이 자세히 살펴보니, 우주만물의 생성과 조화 그리고 천지운행의 이치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있었다. 이를 낙수에서 나온 그림이라 하여 낙서(洛書)라 부르고, 여기에 담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만물의 생성소멸과 순환의 이치를 밝혀내게 되었다.
즉 천지만물은 봄[春]과 동쪽을 뜻하는 진(震)에서 나와, 춘하(春夏)교체기와 동남쪽을 뜻하는 손(巽)에서 기운을 축적 정제한다. 그리고 여름[夏]과 남쪽을 뜻하는 이(離)에서 왕성한 기운을 얻어, 하추(夏秋)교체기와 남서쪽을 뜻하는 곤(坤)에서 발전 성장한다. 가을[秋]과 서쪽을 뜻하는 태(兌)에서는 결실 성숙하고, 추동(秋冬)교체기와 서북쪽을 뜻하는 건(乾)에서 성취한다. 겨울[冬]과 북쪽을 뜻하는 감(坎)에서는 편히 쉬고, 동춘(冬春)교체기인 입춘과 북동쪽을 뜻하는 간(艮)에서 다시 소생을 준비한다.
이러한 자연이치를 깨달은 문왕은 아들 무왕(武王/BC 1169 ?~BC 1116)과 함께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周)나라를 창건하였다. 이들은 덕으로 백성들을 통치하여 성왕(聖王)으로 추앙을 받았다. 유가(儒家)로부터는 이상적인 성천자(聖天子)로 오늘날까지 숭앙을 받고 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인『시경(詩經)』은 문왕과 무왕의 덕을 기리는 시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복희씨의 선천팔괘(先天八卦)가 우주의 기본 구조인 체(體)를 표시했다면, 문왕의 후천팔괘(後天八卦)는 우주의 운용 방법인 용(用)을 표시한 것이다. 복희씨의 팔괘도가 하늘과 땅 사이에 공간적 위치를 그림으로 나태 낸 것이라면, 문왕의 팔괘도는 하늘과 땅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낙서는 아래위나 옆 또는 대각선 어느 쪽으로든 수를 합치면 15가 된다. 또 10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중앙의 5를 빼면 모두가 10이 된다.
양수인 1, 3, 7, 9는 동서남북에 배치하여 정방(正方)이 되었고, 음수인 2, 4, 6, 8은 대각선 방위에 배치하여 간방(間方)이 되었다. 이것은 양수가 동서남북 사방의 주체가 되고, 음수가 간방에서 양수를 보좌하여 천지만물을 움직이는데 조력하고 있는 형상이다.
구궁도(九宮圖)는 낙서에 기원한 천지변화의 이치와 질서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다. 구궁의 순서와 오행은 다음과 같다.

일감백수(一坎白水) → 이곤흑토(二坤黑土) → 삼진벽목(三震碧木) → 사손녹목(四巽祿木) → 오중황토(五中黃土) → 육건백금(六乾白金) → 칠태적금(七兌赤金 )→ 팔간백토(八艮白土) → 구이자화(九離紫火)




◎ 팔괘 쉽게 외우는 방법
건삼연(乾三連) : 건괘는 3개의 효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모두 양이므로 아버지
태상절(兌上絶) : 태괘는 제일 위 효가 떨어졌다. 세 번째가 음이므로 막내딸
이허중(離虛中) : 이괘는 가운데 효가 떨어져 허하다. 가운데가 음이므로 가운데 딸
진하련(震下連) : 진괘는 제일 아래 효만 연결되어 있다. 처음이 양이므로 큰아들
손하절(巽下絶) : 손괘는 제일 아래 효가 떨어져 있다. 처음이 음이므로 큰딸
감중연(坎中連) : 감괘는 가운데 효만 연결되어 있다. 가운데가 양이므로 가운데 아들
간상련(艮上連) : 간괘는 제일 위 효만 연결되어 있다. 세 번째가 양이므로 막내아들
곤삼절(坤三絶) : 곤괘는 3개의 효 모두 떨어져 있다. 모두 음이므로 어머니
 
 
 
출처 : 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 - poongsoojiri.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246건 110 페이지
  • RSS
양택의 개요 및 원리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611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0 09-29
610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7 09-29
609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68 09-29
608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1 09-29
607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2 09-29
606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3 09-29
605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8 09-29
604 no_profile 벚꽃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53 09-29
603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 09-29
602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1 09-29
601 no_profile 좋은생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96 09-29
600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4 09-29
599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29 09-29
598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2 09-29
열람중 no_profile 천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26 09-29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7-22 임정* (男) 궁합
07-21 장재* (男) 작명,개명
07-19 선병* (男) 궁합
07-18 서혜* (女) 사주
07-16 박선* (男) 택일
07-14 이태* (男) 사주
07-11 이정* (女) 사주
07-10 정연* (女) 궁합
07-08 나선* (女) 택일
07-07 김대* (男) 사주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31338]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21994]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588]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6288]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30780]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30047] 2
아들의 외고합격 [450351] 2
젊은 여성의 임신 [383049] 1
재벌 회장의 사주 [439162] 2
유명가수의 사주 [433725] 1
보험설계사 [40118]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4496]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5584]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