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을 주는 터 찾는 법
페이지 정보
본문
★ 산등성의 마루가 끝난 아래의 벼랑 아래 또는 산골짝이의 목에 집터를 잡으면 복을 다하지 못한 채 여러 질병에 시달려 흉하다.
★ 길이 막다른 곳은 과녁배기에 해당되어 크게 흉하다.
★ 집터는 앞이 낮고 뒤가 높으면 진토(晉土)라하여 길하다.
★ 집터는 앞이 낮고 뒤가 높으면 진토(晉土)라하여 길하다.
★ 습기찬 대지나 또는 습지를 메운 곳은 흉하다.
★ 수맥이 흐르는 곳을 피한다. 수맥이 흐르면 주택이 침하되거나 벽에 금이 가며, 주인이 이상한 질병에 시달린다.
★ 집터 내에 시냇물이나 계류가 있는 집은 극히 흉하다. 시냇물은 지맥을 이쪽저쪽으로 갈려놓는 분수령으로 계류를 중심으로 양쪽의 지기가 사뭇 다르다. 따라서 한 집에 두 개의 지기가 있으면 사람에게 상이한 영향을 미쳐 흉하다.
★ 산기슭의 경사진 곳에 집터를 잡는다면, 대지를 깍아 평편하게 고른 경우 보다는 땅의 경사를 그대로 이용하여 집을 지어야한다. 땅을 파헤치면 지기를 손상시켜 쓸모없는 땅이 된다.
★ 잡돌이나 바위가 땅밖으로 보이는 곳은 지기가 쇠약한 곳으로 피한다. 토색이 양명하고 지질이 고운 곳이 복지이다.
★ 앞쪽에 흘러가는 시냇물은 집터를 금성수로 둥글게 감싸안고 흘러야 좋고, 쏘아들어 오는 듯한 물살이 보이면 흉하다.
★ 수맥이 흐르는 곳을 피한다. 수맥이 흐르면 주택이 침하되거나 벽에 금이 가며, 주인이 이상한 질병에 시달린다.
★ 집터 내에 시냇물이나 계류가 있는 집은 극히 흉하다. 시냇물은 지맥을 이쪽저쪽으로 갈려놓는 분수령으로 계류를 중심으로 양쪽의 지기가 사뭇 다르다. 따라서 한 집에 두 개의 지기가 있으면 사람에게 상이한 영향을 미쳐 흉하다.
★ 산기슭의 경사진 곳에 집터를 잡는다면, 대지를 깍아 평편하게 고른 경우 보다는 땅의 경사를 그대로 이용하여 집을 지어야한다. 땅을 파헤치면 지기를 손상시켜 쓸모없는 땅이 된다.
★ 잡돌이나 바위가 땅밖으로 보이는 곳은 지기가 쇠약한 곳으로 피한다. 토색이 양명하고 지질이 고운 곳이 복지이다.
★ 앞쪽에 흘러가는 시냇물은 집터를 금성수로 둥글게 감싸안고 흘러야 좋고, 쏘아들어 오는 듯한 물살이 보이면 흉하다.
★ 산등성의 마루가 끝난 아래의 벼랑 아래 또는 산골짝이의 목에 집터를 잡으면 복을 다하지 못한 채 여러 질병에 시달려 흉하다.
★ 길이 막다른 곳은 과녁배기에 해당되어 크게 흉하다.
★ 주택의 서쪽에 큰 길이 있으면 그 반대편에 출입문과 현관을 둠으로써 소음, 배기가스가 집 안에 들어오지 않아 길하다.
★ 집 터는 앞이 낮고 뒤가 높으면 진토(晉土)라 하여 길하다.
★ 乾·巽방이 내민 터는 길하고, 坤·艮방이 둘쑥날쑥하면 흉하다. 대체로 8방위가 바르면 길하고, 삼각형의 집터는 화재와 분쟁이 생겨 흉하다.
★ 습기찬 대지나 또는 습지를 메운 곳은 흉하다.
★ 수맥이 흐르는 곳을 피한다. 수맥이 흐르면 주택이 침하되거나 벽에 금이 가며, 주인이 이상한 질병에 시달린다.
★ 경사가 급한 터에 축대를 높이 쌓은 다음, 터를 평편하게 닦은 땅은 흉하다. 홍수로 물이 침하되거나 지진으로 지층이 흔들리면 축대와 함께 집이 무너진다.
★ 길이 막다른 곳은 과녁배기에 해당되어 크게 흉하다.
★ 주택의 서쪽에 큰 길이 있으면 그 반대편에 출입문과 현관을 둠으로써 소음, 배기가스가 집 안에 들어오지 않아 길하다.
★ 집 터는 앞이 낮고 뒤가 높으면 진토(晉土)라 하여 길하다.
★ 乾·巽방이 내민 터는 길하고, 坤·艮방이 둘쑥날쑥하면 흉하다. 대체로 8방위가 바르면 길하고, 삼각형의 집터는 화재와 분쟁이 생겨 흉하다.
★ 습기찬 대지나 또는 습지를 메운 곳은 흉하다.
★ 수맥이 흐르는 곳을 피한다. 수맥이 흐르면 주택이 침하되거나 벽에 금이 가며, 주인이 이상한 질병에 시달린다.
★ 경사가 급한 터에 축대를 높이 쌓은 다음, 터를 평편하게 닦은 땅은 흉하다. 홍수로 물이 침하되거나 지진으로 지층이 흔들리면 축대와 함께 집이 무너진다.
출처 : 복을 주는 터 찾는 법 - cafe.daum.net/2548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