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설에서 말하는 좋은 전망이란 뭘까?
페이지 정보
본문
전망=돈"이란 등식은 사실 예로부터 우리와 친숙하다.
어느 곳에 터를 잡느냐에 따라 사람의 길·흉·화·복이 갈린다고 믿는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 『삼국유사』에도 등장하는 이 ‘학설’에서도
전망은 명당이냐 아니냐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집터든 묏자리든 ‘명당’이라고 하면 가격은 치솟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풍수지리설에서 말하는 좋은 전망이란 뭘까.
당연한 얘기겠지만, 탁 트인 전망을 좋은 것으로 친다.
시원한 전망을 좋아하기는 불문가지인 모양.
다만, 풍수지리설에서는 가리는 것 하나 없이 무조건 뻥 뚫린 전망보다는
구석에 안산(案山)이 하나쯤 있어야 더 좋은 것으로 친다.
‘안’은 ‘앉은뱅이 책상’이란 뜻의 한자.
따라서 안산은 아주 야트막한 산을 말한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이런 산은 좋은 기운들이
흘러가 버리는 것을 막아 복(福)이 부르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 풍수지리설에서는 물이 보이는 전망을
재물을 부른다고 해 높게 친다.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풍수지리설에서 말하는 ‘물’은 우리가 마시고 씻는 데 쓰는
액체만을 가리키지 않는다는 것.
여기서 물은 자신이 있는 곳보다 낮은 곳의 통칭이다.
따라서 아래를 굽어보는 곳은 부(富)가 따르는 터로 분류된다.
또 산이 보이는 곳에 집을 짓거나, 조상의 묘를 쓰면 명예가 따른다고 본다.
주의할 점은 산을 보겠다고 비탈에 자리를 잡으면 안 된다는 것.
이로운 기운들이 고일 틈도 없이 미끄러져 사라진단다.
출처 : 風水地理(풍수지리) - blog.daum.net/choitj1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