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격_풍수이법 1
페이지 정보
본문
팔산법(八山法)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 1> 혈지에서 주변에 있는 산을 나경패철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하니 동쪽인 갑묘을(甲卯乙) 진방(震方)에 수려하고 풍만한 산이 있다면 자손이 번창하여 부귀를 다하는 좋은 산이다. 특히 진(震)방은 장남을 관장하는 방위이므로 장남과 장손이 잘된다. <예 2> 혈지에서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6층으로 주변 산(사격)을 측정하니 북쪽인 임자계(壬子癸) 감방(坎方)에 깨지고 부서진 흉칙한 바위투성이로 된 산이 있다면 부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자손들도 잘 되지 않는데 그 중에서도 중남인 가운데 자손이 큰 피해를 본다. <예 3> 혈지에서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동남쪽인 진손사(辰巽巳) 손방(巽方)에 귀한 산이 있다면 장녀인 큰딸이 매우 똑똑하고 아름다워 귀하게 될 것이다. <예 4> 혈지에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남쪽인 병오정(丙午丁) 이방(離方)에 산이 높고 험하며 햇빛을 차광하고 있다면 부귀는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중녀인 가운데 딸이 피해를 많이 보며 자손 중에 눈에 병이 있거나 맹인이 나온다. <예 5> 혈지에서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서북쪽인 술건해(戌乾亥) 건방(乾方)에 있는 산이 깨끗하고 풍만하여 길격형상을 하고 있다면 건방은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관장하는 방위이므로 부귀는 물론이고 무병 장수한다. <예 6> 혈지에서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남서쪽인 미곤신(未坤申) 곤방에 흉한 산이 있다면 재산과 자손의 발전도 없고 특히 곤방(곤방)은 할머니와 어머니 또는 아내를 관장하는 방위이므로 여인들의 실덕으로 집안을 망친다. |
삼길육수사(三吉六秀砂) |
![]() ![]() |
귀인사(貴人砂) |
![]() ![]() |
![]() |
![]() ![]() |
녹위사(祿位砂) |
![]() ![]() <예 1> 나경패철 4층으로 혈지의 좌향을 측정하니 임좌병향(壬坐丙向)이고, 6층으로 주변의 사격을 측정하니 묘(卯)방위에 귀인으로 잘생긴 산이 있고 사(巳)방위에는 후덕하게 살이 붙은 산이 있다면? <답> 임좌(壬坐)에 묘(卯)방위와 사(巳)방위에 있는 산은 귀인방으로 등과급제하여 권력을 얻는 좋은 사격이고, 병향(丙向)에 사(巳)방위의 후덕한 산은 녹위(祿位)에 있는 산으로 재산을 많이 모을 수 있는 사격이다. 산의 모양도 길격형상이고 방위도 매우 길한 방위에 있기 때문에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혈이다. |
역마사(驛馬砂) |
![]() ![]() ![]() ![]() ![]() 좌향에 상관없이 건(乾)과 오(午)방에 있는 천마사 혹은 기이하게 생긴 귀한 산이 있으면 속발부귀(速發富貴)한다. |
겁살방(劫煞方) |
![]() 좌(坐)기준 하여 다음 방위에 파산흉석(破山凶石)이 있으면 인상손재(人傷損財)하는 겁살방이다. |
삼각치(三角峙) |
위 3방위에 각각 기이하고 아름답게 생긴 기봉(奇峰)이 삼각으로 대치(對峙)하여 있으면 삼각치(三角峙)라 하여 부귀쌍발(富貴雙發)한다. ![]() 이는 구성(九星)중 간(艮)은 탐랑(貪狼), 손(巽)은 거문(巨門), 태(兌)는 무곡(武曲)의 삼길성(三吉星)이 삼각으로 옹립하여 혈을 비추어 주므로 매우 길한 형상이 된다. |
삼양기(三陽起) |
![]() 남향인 손(巽), 병(丙), 정(丁) 3방위를 삼양기(三陽起)라 하여 단정 수려한 3개의 산이 기봉하면 관작(官爵: 높은 벼슬)이 기약된다. <손(巽)은 거문(巨門)이고 병(丙)은 탐랑(貪狼)이며 정(丁)은 무곡(武曲)방위다> |
팔국주(八國周) |
![]() 위의 8천간 방위에 수려 단정한 고봉(高峰)이 팔방으로 둘러싸 있으면 팔국주(八國周)라 하여 극귀(極貴)로 제왕지지(帝王之地)가 된다. (단, 1개 방위라도 산이 없으면 발복은 반감한다.) |
사세고(四勢高) |
![]() 위 4방위는 사국(四局)의 생궁(生宮)에 해당되는 곳으로 네 곳 모두에 높고 수려한 산이 있으면 귀현(貴顯)이 기약된다. |
규산(窺山) |
![]() 좌향(坐向)에 관계없이 다음 방위에서 탐두규봉(探頭窺峰)이 혈장(穴場)을 넘겨다보면 화재(火災)나 도적(盜賊)으로 패가망신(敗家亡身)한다. ※ 탐두(探頭) 규산(窺山)은 작은 산이 큰 산 뒤에 숨어 산두(山頭)만을 살짝 들어 내놓고 마 치 물건을 훔치려고 남의 담장을 엿보는 모습과 같은 산을 말한다. ※ 임(壬), 정(丁)방위의 규산은 탐두봉(探頭峰)이지만 오히려 길하고, 을(乙),진(辰)방위의 규산은 무길무해(無吉無害)하며, 기타 방위의 탐두 규산은 모두 흉하다. |
여산구(女山俱) |
![]() 위 3방위는 손(巽,장녀궁), 이(離,중녀궁), 태(兌,소녀궁)으로 모두 여자를 관장하는 방위다. 이 3방위 모두에 청아하고 단정한 산이 있으면 여자가 귀하게 된다. 반대로 이 곳이 요함(凹陷)하거나 공허하면 여자들이 흉함을 많이 당한다. |
출처 : 풍수지리학(風水地理學) - poongsoojiri.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