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사상이란 무엇? 명당의 조건은?
페이지 정보
본문
풍수지리사상
명당(기가충만한곳)->장충득수
산의 모양과 기복, 바람과 물의 흐름으로 땅의 뜻을 파악 하여 좋은 삶의 터전 즉, 명당을 찾는 사상
풍수지리사상은 명당을 찾는것인데 명당이란 기가충만한곳이다 여기서 기란 산을타서 흘러내리고 물이 있는곳에서 모이고
바람에 흩어진다. 그래서 바람을 막아야하고 물이 있는곳이어야 하는데 명당이란 장풍득수(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
즉 이걸 지형으로 말한다면 배산임수 이다.
풍수지리사상은 환경결정론적인 사고로 설명할 수 있다.
풍수지리사상은 환경결정론적인 사고로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사상에서 풍수지리사상의 발달원인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게 아니라 신라시대 말 중국에서 넘어온것이다.
가장 전성기는 고려시대이고 조선시대때 한양을 도읍으로 입지한것도 풍수지리 사상의 대표적인 예 이고 요즘은 묘자리를
정할때 풍수지리사상을 이용.
발달배경 - 우리나라의 복잡지형(산과물이 많다)
사상 - 음양설과 오행설
한양의 명당자리를 살펴보자
위쪽에는 주산(북악산),우백호(인왕산),좌청룡(낙산),아래쪽 안산(남산) 명당수는 청계천이고 명당을 보호하는 객수는 한강이다.
한양에도 모자란 부분이 있었는데 낙산이 인왕산보다 낮다 그래서 비보(기가 부족한곳에 기를 넣어줌)로서 흥인지문(동대문)을
만들어 기를 좀더 가해줌.
우리나라의 문은 동양사상에 방향이 들어가있다.
인의예지는 방위를 나타낸다.
동 : 흥 인 지문
서 : 돈 의 문
남 : 숭 례 문
북 : 홍 지 문
인의예지는 방위를 나타낸다.
동 : 흥 인 지문
서 : 돈 의 문
남 : 숭 례 문
북 : 홍 지 문
기가너무 높으면 눌러주고 낮으면 올려주면서 가장좋은 명당을 맞췄는데 이유는 명당은 쉽게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한양도 조절을 통해 명당으로 존재하고있다.
출처 : 風水地理(풍수지리) - blog.daum.net/choitj1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