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서(風水書) - 풍수의 서적(書籍), 풍수서의 내용(內容)
페이지 정보
본문
풍수의 서적(書籍)
한국의 풍수서적은 그 대부분이 중국의 풍수서를 수입한 것이거나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한국에서 씌어진 것은, 그 대부분이 풍수사가 자기의 상지(相地)상의 편의를 위해서 중국 풍수서의 기사를 발췌한 것이다. 발췌의 근거를 명기해 두지 않았기 때문에, 어떠 책에서 발췌한 것인지도 알 수 없다. 서적의 크기나 종이질에 일정한 형이 없고, 대부분이 육필본(肉筆本)이나 사본(寫本)이며, 번역된 것은 손꼽을 정도이다.
그런데 어떤 풍수서가 가장 중시되었을까? 신라나 고려 시대에 사용된 것은 확실하게 전해지지 않아 상세히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조선조에 있어서의 지리서, 풍수서는 과거(科擧)과목에 있어 『청오경』, 『금낭경』, 『호순신』, 『명산론』을 그 정본(定本)으로 시종일관했고, 다른 많은 지리서가 수입되고 유포되었다 하더라도, 이 네 가지가 권위있는 풍수서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한국의 풍수서적은 그 대부분이 중국의 풍수서를 수입한 것이거나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한국에서 씌어진 것은, 그 대부분이 풍수사가 자기의 상지(相地)상의 편의를 위해서 중국 풍수서의 기사를 발췌한 것이다. 발췌의 근거를 명기해 두지 않았기 때문에, 어떠 책에서 발췌한 것인지도 알 수 없다. 서적의 크기나 종이질에 일정한 형이 없고, 대부분이 육필본(肉筆本)이나 사본(寫本)이며, 번역된 것은 손꼽을 정도이다.
그런데 어떤 풍수서가 가장 중시되었을까? 신라나 고려 시대에 사용된 것은 확실하게 전해지지 않아 상세히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조선조에 있어서의 지리서, 풍수서는 과거(科擧)과목에 있어 『청오경』, 『금낭경』, 『호순신』, 『명산론』을 그 정본(定本)으로 시종일관했고, 다른 많은 지리서가 수입되고 유포되었다 하더라도, 이 네 가지가 권위있는 풍수서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풍수서의 내용(內容)
풍수의 서적은 많지만, 그 내용은 대개 동일한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풍수가 가능한 감응론(感應論), 실제로 길흉의 지세를 논하는 산수론(山水論) 및 길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는 방위유형론(方位類形論)의 세 가지를 논술한 것이다.
풍수의 서적은 많지만, 그 내용은 대개 동일한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풍수가 가능한 감응론(感應論), 실제로 길흉의 지세를 논하는 산수론(山水論) 및 길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는 방위유형론(方位類形論)의 세 가지를 논술한 것이다.
출처 : 지리풍수(地理風水) - blog.naver.com/zingongsi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