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 정법
페이지 정보
본문
격국 정법은 아주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 격국을 정하는 게 어렵습니다. 그냥 월지가 격이라고 하면 맞습니다. 그런데, 그 월지의 십성을 보는 법이 있습니다. 송백이 쓰는 오양간의 월지 관살격 격국법을 아래에 소개합니다. 松栢이 그 동안 인터넷 상에 공개하지 않았던 마지막 수법인데, 오늘 공개하오니 학인들의 연구가 있기를 바랍니다.
이 수법은 松栢이 스스로 개발해서 정한 수법이니 옳으니 그르니를 따지기 전에 실전에서 한 번 적용해 보시고 채용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기 바랍니다.
구 분 |
甲 |
甲 |
丙 |
丙 |
戊 |
戊 |
庚 |
庚 |
壬 |
壬 |
壬 |
壬 |
월 지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午 |
巳 |
午 |
未丑 |
巳 |
辰戌 |
월지 정기 |
칠살 |
정관 |
칠살 |
정관 |
칠살 |
정관 |
정관 |
칠살 |
정재 |
정관 |
편재 |
칠살 |
기존 격국법 |
칠살격 |
정관격 |
칠살격 |
정관격 |
칠살격 |
정관격 |
정관격 |
칠살격 |
정재격 |
정관격 |
편재격 |
칠살격 |
월지 십성 |
칠살 |
정관 |
정관 |
칠살 |
칠살 |
정관 |
칠살 |
정관 |
편재 |
정관 |
정재 |
칠살 |
松栢 월지격 |
칠살격 |
정관격 |
정관격 |
칠살격 |
칠살격 |
정관격 |
칠살격 |
정관격 |
편재격 |
정관격 |
정재격 |
칠살격 |
장생지 중기 |
인수 |
|
인수 |
|
(인수) |
|
인수 |
인(록) |
정관 |
|
살(록) |
|
松栢 격국법 |
살인격 |
칠살격 |
관인격 |
정관격 |
정관격 |
정관격 |
살인격 |
관인격 |
재살격 |
칠살격 |
재살격 |
칠살격 |
* 일반적으로 월지 정기로 격을 잡습니다.
* 松栢은 월지 자체의 음양을 중시해서 월지로 격을 잡습니다.
* 松栢은 오양간의 격을 볼 때 정관을 칠살로 간주하고 칠살을 정관으로 간주합니다.
* 단, 甲木과 戊土와 土月은 木일주와 土일주와 土月의 특징을 감안해줍니다.
- 甲木은 항상 불을 필요로 합니다.
- 土는 모든 것을 가두는 그물망과 같은 무시무시한 존재이므로 壬水 입장에서는 칠살로 봅니다. 무자비한 土일주 입장에서는 甲乙木을 모두 정관으로 봅니다.
* 장생지 월은 중기를 더 중시합니다.
@@@ 기존의 이론과 워낙에 달라서 연구하고픈 생각조차 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귀찮음을 물리치고 연구해본다면 뭔가 소득이 있을 것입니다.
출처 : 원리학당 [십성 격용론 인터넷 반] 강의 자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