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사주이야기22> 십이지 관점 - 술(戌), 해(亥)
페이지 정보
본문
戌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상형문자
(설문해자) |
①월(越)에서 달아날주(走)部를 뺀 글자로 도끼와 같은 글자. |
도끼
(質) |
2 |
三命通會 |
戌은 소원(燒原). 戌은 九月엔 農家에서 마른 잎을 불태우고 밭을 갊.
또한 戌은 土에 屬하는 故로 이름하여 불사른 平原(燒原)이라 하는 것. |
불사른 평원
(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전투용의 도끼
‘술’이란 소리는 또한 戊(다섯째 천간 무)의 도끼를 막 휘두를 때 휘익! 쉬익! 하느 소리에서 빌린 소리.
② 戍(지킬 수)도 뜻과 소리에 관계가 있는데 집을 지키는 동물은 개. 결국 戌은 ‘도끼’ ‘개’ ‘지키다’라는 핵심적인 뜻을 품게 됨. |
도끼, 개, 지키다
(質)
|
특징 |
1. 리지청 선생의 한자 성음에 대한 설명은 주목할 만 하다는
생각. |
亥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상형문자
(설문해자) |
① 돼지모양을 본 뜬 글자 |
돼지
(質) |
2 |
三命通會 |
亥는 (현하)懸河.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물이 힘차게 흘러 돌아오지 않는 故로 懸河라고 하는 것. 亥는 天門이 되고 또 水에 屬하니 어찌 하늘에서 내려오는 懸河의 象이 아니겠는가? |
懸河(현하)
(氣+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원래 갑골문자를 살펴볼 때 사나운 멧돼지를 본뜬 모양.
사납고 야생인 멧돼지를 집에서 키우니 豕(돼지 시)로 변함.
‘해’와 ‘시’라는 소리는 멧돼지가 학! 학! 또는 씩! 씩! 하는 소리에서 취한 것.
② 저돌적으로 마구 설쳤기 때문에, 뼈대를 갖추다’․‘학학거리다’라는 핵심적인 뜻을 품게 됨. 관련한자로는,
該(갖출 해) 刻(새길 각) |
멧돼지, 돼지,
갖추다,
학학거리다
(質)
|
특징 |
1. 삼명통회의 懸河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망설여져 그냥 한자어를 그대로 옮겼음. 그러나 懸河한 은하수를 의미할 수도 있다는 생각. |
출처 : <창작사주이야기22> 十二支物象, 通卽久! - blog.daum.net/twinstar4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