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작사주이야기22> 십이지 관점 - 자(子), 축(丑) |
Mr.대산
2017-10-02 (월) 11:12
조회 : 1347
|
|
子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상형문자
(설문해자) |
① 어린아이가 두 팔을 벌린 모양을 본뜬 글자로 '아들'을 뜻함. (일반적 설명)
② ‘子’는 ‘사위’를 뜻함.
모계제 사회에서 사위는 자식과 같은 위치.
소호 금천씨가 장인의 희화 주씨의 이름자인 ‘△’를 뒤집어 ‘▽’로서 자신의 이름자로 사용했으며 이로부터 아들 즉, 사위를 뜻하는 子가 만들어짐.
십이지의 첫째자인 ‘자’를 지금은 ‘子’로 쓰지만 예전에는 고신씨의 子姓인 윗 표식 안의 글자로 썼음.
십이지 중 ‘子’가 맨 앞에 놓인 것은 제곡 고신씨의 후손들이 임금이 되었을 때 선조인 고신씨를 높여 상위에 모신 것에서 기인. |
아동, 아들,
사위
(質)
|
2 |
三命通會 |
子는 묵지(墨池). 正北方. 水. 色은 검정. 고로 묵지(墨池)의 상(象)이 되는 것. |
검은 늪
(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子는 갓난아이를 본뜬 모양.
② 옛날에는 유아 사망률이 높아서 자손 번식이 어려웠기에 동물 중 번식력이 좋은 ‘쥐’에 비유한 것.
관련한자로는,
孫(손자 손) 孜(부지런할 자) |
갓난아이, 쥐
(質)
|
특
징 |
1. ‘子’가 아동이나, 아들을 뜻한다는 설명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 그러나 ‘子’가 ‘사위’를 뜻하고, 십이지에서 처음에 위치하게 된 연유에 대한, 說文解字의 해석은 예상외.
2. 삼명통회의 설명은 子= 쥐로 연결하지는 않고 방위,색과 연결. |
丑
NO |
출처 |
내용 |
물상/특징 |
1 |
상형문자
(설문해자) |
① 사람이 손을 뻗쳐 손가락 끝을 굽혀 물건을 잡는 모양을 나타냄 |
물건을 잡는
모양 (質) |
2 |
三命通會 |
丑은 유안(柳岸). 丑 中에는 水와 토와 금이 있다. 언덕은 土가 물을 그치게 해 柳岸이라 부름. |
버드나무 언덕
(質)
|
3 |
사주학 기초
(리지청) |
① 丑은 손으로 물건을 꽉 ‘잡아서’ ‘묶으려고’하는 모양을 본뜬 글자.
② 소의 코뚜레와 字意 연결.
관련한자로는,
扭(잡을 뉴) 紐(끈 뉴)
③ 자신을 스스로 꽉 ‘잡고’ 있듯이 자신감이 있는 것은 좋으나 지나치면 타인과 충돌.
④ ‘묶는다’는 뜻에서 여성은 요염, 색정 농후. |
잡다, 묶다
(質)
|
특징 |
1. 삼명통회의 지지론은 일관성이 없는 설명이 특징.
‘子’의 경우 방위와의 연관성을 주축으로 추론하고 있고,
‘丑’의 경우 지장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음.
2. 삼명통회에서 ‘丑’을 언덕에 비유한 것은 ‘동그란’ 글자 모양을 염두에 둔 설명이란 생각.
또한 언덕 중에서도 ‘버드나무 언덕’이라고 칭한 것은
기본적으로 紐(끈 뉴)라는 글자와 연결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추정됨. 버드나무는 끈처럼 긴 가지와 잎을 특징으로 하기에. |
출처 : <창작사주이야기22> 十二支物象, 通卽久! - blog.daum.net/twinstar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