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1 (월)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1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지관 스님 사주

페이지 정보

본문

지관 스님
 
 
 
생몰 1932년 5월 11일(경북 포항시) ~ 2012년 1월 2일 | 원숭이띠, 황소자리
 
 
양 력: 1932년 6월 14일
음/평: 1932년 5월 11일 12:00 남자
 
시 일 월 년
@ 丙 丙 壬
@ 午 午 申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丁 대운: 순행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申 未
87 77 67 57 47 37 27 17 7.11
 
대운 시작: 7세 11월 4일
사망 나이: 80 세
사망 대운: 甲
 
  
지관 스님 입적… “팔십년 후에는 내가 그이로다” 임종게. 2012-01-03
지관 스님 입적 1932∼2012
한국불교 대표적 學僧
 
 
‘무상한 육신으로 연꽃을 사바에 피우고/
허깨비 빈 몸으로 법신을 적멸에 드러내네/
팔십 년 전에는 그가 바로 나이더니/
팔십년 후에는 내가 바로 그이로다.’
 
2일 입적한 지관 스님은 지난해 9월 입원 직전 자신의 운명을 예감했는지 원고지에 친필로 ‘사세(辭世)를 앞두고’라는 임종게(臨終偈)를 남겼다.
 
스님은 2009년 총무원장 임기를 마칠 때에는 “40리 가는 표를 샀는데 가다 보니 내릴 정거장이 되어서 내리는 것뿐”이라며 “팥을 솥에 넣고 삶으면 팥죽도 되고 앙꼬도 되지만 팥은 그 솥에 그대로 있고 모양만 변하는 것일 뿐이듯이, 슬플 것도 없고 기쁠 것도 없다”고 했다.
 
조계종의 대표적 학승(學僧)이자 명리에 연연하지 않아 종단 안팎에서 신망이 높았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15세 때인 1947년 당대 최고 율사(律師)였던 자운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스님은 평생 공부를 손에서 놓지 않은 불교계의 대표적 지성으로 꼽혀 왔다. 그러면서도 최연소 본사 주지와 최초의 비구 대학 총장에 이어 종단 행정의 최고 책임자인 총무원장에 올라 불교계에서는 “복을 타고났다”는 말까지 나왔다.
 
수행에 얽힌 흥미로운 일화도 있다. 출가 초반 경남 양산 통도사 극락전에서 경(經) 율(律) 선(禪)이라고 쓴 석 장의 종이를 놓고 매일 108배를 올리며 무엇을 할까를 고민했다고 한다. 기도 끝에 마음을 다잡고 종이 한 장을 뽑았을 때 손에 잡힌 것은 ‘선’이었다. 그럼에도 스님은 공부가 좋아 이후에도 ‘경’의 길을 걸어 종단의 대표적인 학승이 됐다.
 
금석문에 조예가 깊어 한국불교와 관련한 비는 대부분 스님이 역주했으며 직접 조성한 비도 20개가 넘는다. 총무원장에 재임하고 있을 때 주석처인 서울 경국사에서 승용차 없이 버스나 도보로 출퇴근하며 고승들의 행적을 밝힌 ‘역대고승비문총서’ ‘한국불교문화사상사’를 출간했다. 지난해 9월 지관 스님이 병원에 입원하기 전 친필로 원고지에 남긴 임종게. 조계종 제공
스님은 해인사 강원과 동국대 선학과 교수 등을 지내면서 많은 제자를 육성했다. 해인사 강주 시절 길러낸 학인이 수백 명, 동국대 교수 시절 제자도 수천 명에 이른다.
 
학승이면서도 스님은 해인사 주지와 중앙종회 부의장을 지내는 등 이른바 종단의 행정을 담당하는 ‘사판(事判)’의 세계에도 밝았다. 1994년 개혁 종단 출범 이후 4년의 임기를 채우고 평화롭게 종권을 이양한 첫 번째 총무원장이었다. 당시 조계종은 1994, 98년 종권을 둘러싼 잇따른 폭력 사태로 위신이 땅에 떨어진 가운데 총무원장을 지낸 정대 스님과 현직 총무원장 법장 스님이 잇따라 입적하는 바람에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지관 스님은 1998년 ‘원융화합(圓融和合)’ 정신에 따라 분규 과정에서 승적을 박탈당했던 스님들을 사면하고 임기를 큰 잡음 없이 마쳐 종단 화합과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불교역사문화기념관 개관에 이어 남북 불교 화합의 상징인 금강산 신계사 복원과 불교의 사회적 관계 강화를 위한 공익법인 아름다운 동행을 창립해 불교의 위상을 높였다.
 
2008년 정부의 종교 편향 시비가 이는 가운데 서울광장에서 범불교도 대회를 개최해 불교계의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이 무렵 ‘인평불어 수평불류(人平不語 水平不流·공평무사하게 일을 처리하면 사람도 말이 없고, 물도 평탄함을 만나면 조용히 머문다)’라는 스님의 말은 세간에 화제가 됐다. 2009년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명(碑銘)을 직접 쓰기도 했다.
 
스님이 가장 공을 들인 것은 1982년부터 시작한 불교대백과사전인 ‘가산불교대사림(伽山佛敎大辭林)’ 출간이다. 사전 조사만 10여 년이 걸렸고 현재 12권까지 출간됐다. 곧 13권이 출간될 예정이며, 스님은 총 20권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총무원장 퇴임 무렵 조계사 경내에 조성한 8각10층 세존사리탑 발원문은 그 염원을 잘 보여 준다.
 
“우리 국민 모두가 이 땅의 모든 생명을 아끼고 섬기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마음을 회복하게 하여 주시옵소서.… 제가 진행하는 가산불교대사림이 생전에 완간되어 부처님께 헌상할 수 있도록 보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스님의 뜻은 이제 후학의 손을 기다리게 됐다.
 
 
경력
2007 ~ 남북 정상회담 자문위원단 단원
2005 ~ 2009 제32대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원장
      - 불교원전전문학림삼학원 원장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이사장
      - 대한불교조계종 원로의원
1993 ~ 1996 해인사 주지
1986 ~ 1990 제11대 동국대학교 총장
1984 ~ 동국대 교육대학원 원장
1980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학장
1977 ~ 1987 경국사 주지
1972 ~ 1974 중앙종회 부의장
1970 ~ 해인사 주지
1970 ~ 1970 경기도 흥국사 주지
1970 ~ 1970 해인사 해인강원 강주
1960 ~ 1970 해인사 강사
 
 
출처 : 사주명리 - cafe.daum.net/sajusaju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90건 9 페이지
사주가이드#1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770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7 10-03
1769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89 10-03
1768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70 10-03
1767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2 10-03
1766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 10-03
1765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7 10-03
1764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08 10-03
1763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189 10-03
1762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5 10-03
1761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83 10-03
1760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2 10-03
1759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4 10-03
열람중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43 10-03
1757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65 10-03
1756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29 10-03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27622]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18208]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172]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2523]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26954]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6354] 2
아들의 외고합격 [446567] 2
젊은 여성의 임신 [379217] 1
재벌 회장의 사주 [435398] 2
유명가수의 사주 [430061] 1
보험설계사 [40052]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0802]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1804]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