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사주이야기27> 색(色)으로 읽는 난강망(欄江網) (1)
페이지 정보
본문
1. 난강망을 '색'으로 표시해 보았다.
1) 그림은 단순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여름에는 차갑게 해주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주란다.
2) 여름, 겨울처럼 순양, 순음한 계절에는 직접적으로 에어컨을 켜고, 온풍기를 틀면 되고,
봄, 가을처럼 혼탁한 계절에는 상황에 따라 암반수를 들이키거나, 땔감을 준비해 작은 장작불을 지피면 된다.
3) 병정은 원래 불덩이니, 한 겨울에 온풍기를 트는 것보다는 장작을 때는 것이 효과적이고,
임수는 겨울에 물기운만 잘 막으면 불기운을 유지할 수 있으니, 무토를 이용하는 것도 좋단다.
4) 진술은 주로 갑목을 이용해 척척 쌓인 흙덩이를 치우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5) 이러한 색상들이 사주팔자에 척척 놓여 있으면 금상첨화고, 대운에서 흘러가도 해피하단다.
물론 세운에서도 이러한 기운이 더해지면 데끼리하다.
2. 난강망을 십신으로 표시해 보았다.
* 칠-> 칠살, 편관
* 상-> 상관
* 편-> 편인
1) 색에다 십신을 입혀놓으면, 조후의 기본 목적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예를 들어 갑목_묘월과 계수_묘월은 둘 다 금의 색깔인데(=금을 용신으로 하는데)
전자는 편관이니 목왕절 왕성하게 뻗어나가는 갑목의 형태와 구조를 제어하기 위한 용도고,
후자는 정인이니 목왕절 계수의 설기를 막아주기 위한 용도가 된다.
2) 일전 <오행과 운동에너지>란 글에서 정리한 십신의 용도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식상- 오행의 목적(=여기서는 일간의 목적)
관성- 목적 달성을 위한 구조마련
인성- 목적달성을 위한 계획(=여기서는 원조와 지원의 의미)
재성- 준비과정, 모든 운동을 위한 사전정지작업
3. 다음은 난강망의 십신의 종류를 재차 정리해 보았다.
생해주는 인성과 제화해 주는 관성과 식상이 많았다.
즉 난강망의 포인트는 계절의 변화를 조절해 줄 수 있는 '난방조절장치'를 잘 갖추고 있는지에 있으며
주로 인성과 관성/식상이 환경변화에 대한 완충장치 역할을 하고 있다.
출처 : <창작사주이야기27> 色으로 읽는 欄江網 - blog.daum.net/twinstar4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