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프로 사주학회에서 퍼온 자료이다.
1)간호사
丁 乙 丁 丁 坤30
亥 未 未 巳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辰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申
81 71 61 51 41 31 21 11 1.6
2)산부인과 레지던트
庚 乙 丁 丁 坤30
辰 未 未 巳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辰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申
81 71 61 51 41 31 21 11 1.8
-----------------------------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있어 게시해 봅니다.
같은날 출생자인데 시간만 달라 한사람은 의사이고 한사람은 간호사다.
1) 번의 사주는 식신용재격으로 격이 년월시에 분산되었다.
신은 쇠한 것이 강한척 하고(화왕절 설과 미토극)
식상은 왕하고(화왕절 근하고 목생하여)
재는 왕한것이 약한척 하고(월령은 득했으나 을목의 극)
身이 쇠한 식신격이 재를 격용으로 쓰는데 身은 인성에 의지하고자 하니
거침 없이 달려야할 자가 자신을 점검 하고자 하니 야망을 잃은 것이다.
식신용 편재격은 꾸준히 내가 가고자 하는 목표로 달리는 야생마이다.
여장부가 되어야 하는데 시지 인성은 여자이고 싶어 하는 나약함이다.
격용과 억부가 위배되며 타협하지 말아야 하는데 타협한 것이 안타깝다.
2) 번의 사주도 식신용재격으로 격이 년월에 분산되고 재는 혼잡하다.
身쇠한데 식신격 지향하는 것이 관을 향하였고 격용인 재는 정관으로
보호받고 합의점을 찾으니 뚜렷한 목적을 가질수 있었다고 보여진다.
-------------------------------------------------------------
식신이 재를 보는 것은 주특기를 활용하여 생산활동을 하는 것이고
식신이 정관을 보는 것은 개인적인 주특기를 공식화 하는 것이고.
식신이 정인을 보는 것은 생산활동을 해야 해야 하는 사람이 자신의
실력이나 능력을 점검하고 테스트만 하려 하는 것이고.
여명 식신격은 여장부로 가업을 일으켜야 하는데 인성이 유여하면
한여자로 남편에게 사랑 받고자 하는 것이고.
재왕관약하면 사회에서 유망하고 비젼있는 것을 관여하게 된다.
신약식왕하면 사회중심으로 기능적인 것을 익히게 되고
신왕식약하면 자기중심으로 기능적인 것을 익히게 된다.
身이 식을 생하지 않으면 타인의 기술력을 배우는 것이고
身이 식을 생하면 자신만의 기술력을 배양하게 되고
식이 재를 생하는 것은 주특기를 활용하여 생산능력을 가지고
식이 재를 생하지 않으면 주특기를 활용하여 생산력에 관여하고
재가 관성을 생하면 관중심적으로 보좌하고 참모하고자 하고
재가 관성을 생하지 않으면 나 중심적으로 편리함에 치우치게 된다.
인성이 일간을 생하면 행복하고 만족하여 흐뭇한 것이고
인성이 일간을 생하지 않으면 불만이 많고 불평이 생겨나며
인성중심으로 일간을 생한것은 상대의 만족이고 나의 불만족이며
일간중심으로 인성을 설하면 내 만족이고 상대의 피곤함이고
재중심 식신을 쓰는 것은 공간중심 품목을 가지는 것이고
식신중심 재를 쓰는 것은 품목중심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간단히 하려 했는데 수필이 되었네요.
출처 : 간호사와 의사 - blog.daum.net/024614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