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地支)의 음양(陰陽) 분류
페이지 정보
본문
* 支地의 陰陽분류
1. 配列의 陰陽
1) 子丑 寅卯 辰巳 -> 陽
午未 申酉 戌亥 -> 陰
2) 子 寅 辰 午 申 戌 -> 陽
丑 卯 巳 未 酉 亥 -> 陰
2. 合의 陰陽
1) 亥卯未 寅午戌 -> 陽
巳酉丑 申子辰 -> 陰
2) 寅卯辰 巳午未 -> 陽
申酉戌 亥子丑 -> 陰
3. 陰陽배점
1) 順 陰陽
(寅 -> 4陽 0陰) (酉 -> 0陽 4陰)
2) 2=2 陰陽
(巳 -> 2陽 2陰) (子 -> 2陽 2陰)
(未 -> 2陽 2陰) (戌 -> 2陽 2陰)
3) 3-1 陰陽
(卯 -> 3陽 1陰) (丑 -> 1陽 3陰)
(辰 -> 3陽 1陰) (申 -> 1陽 3陰)
(午 -> 3陽 1陰) (亥 -> 1陽 3陰)
4. 陰陽고찰
1)地支의 順陽은 寅이고 順陰은 酉이다.
天干에서 順陽은 丙이고 順陰은 癸이다.
干支 順陽은 丙寅이고 順陰은 癸酉이다.
음양은 본디 하나인데 기준을 정하자니 음이고 양인 것이다.
양은 음이고 음은 양이니 질은 불변하고 기는 변화하는 것이다.
양이 생동하는 것은 음이 있기 때문이고
음이 극하는 것은 양이 생하기 때문이다.
택일에 음양 기준이 음인지 양인지가 무엇이 기준인지 정하고,
干이 양이면 支는 陰이 되고 간지로 60갑자의 음양이 존재한다.
갑자가 양이면 을축은 음이다. 병인이 양이면 을축은 음이다.
마치 상대성이론과도 같은 음양을 눈으로 분별하는 것은 질이고
마음으로 살피는 것은 기가 되는 것이 음양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식으로 고정되이 정하고자 한다면 음이고
지혜로서 활용하고 동하고자 한다면 양이다.
수화가 상하로 높낮이가 되는 것은 임자 계해 병오 정사는 스스로
극한점에 이르러 음양을 스스로 조절하는 것이니 수화는 같은 것이다.
금목은 좌우로 넓고 좁히며 빠르고 늦고 하는 것은
경신 신유 갑인 을묘로 수화의 양적인 움직임에 음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수화는 들뜨고 따운되고 금목은 두렵고 지루함을 주는 것이다.
택일은 못박는 날인지 개업하는 날인지 이사가는 날인지에 따라 다르다.
寅은 順陽이니 볼록하니 솟아 오로는 처녀의 젓가슴과 같고,
酉는 順陰이니 우묵하게 꺼져가는 거시긴지 몬지 나는 모른다.
음양은 무극에서 출발하니 둘이 아니고 하나이며,
하나라 하여 둘을 분별하지 않으면 오행은 뜬구름과 같다.
하물며 12지지의 변화는 그날 그날 기분따라 다른 것을 감히
음양을 안다하여 오행으로 접근하는 것이 이미 오버인 것이다.
과거에 지지 음양에 대한 정리를 한 것입니다.
택일에 음양이라는 기준을 어디에 활용되는 음양인지도 모르고,
우답이 되는 답변일 수는 있으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출처 : 地支 陰陽 - blog.daum.net/02461468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