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복이 있는 사주
페이지 정보
본문
처덕(妻德)이 있는 사주
처는 정재이고 첩은 편재이나 정재가 없고 편재만 있는 사주는 편재를 정처로 간주한다. 처덕(妻德)의 유무(有無)를 일견(一見)하여 알려면 사주상의 재성이 용신 또는 희신이면 처덕이 있고 기신이면 처덕이 없다. 또 일지에 길신의 유무(有無)도 참작해야 한다.
① 재성이 길신이면 처덕이 있는데, 재성과 사주의 길신이 서로 상극되지 아니하여도 처가 또한 양호하다.
② 신왕 사주에 관살이 약하고 재성이 관살을 생조할 때, 관살이 약하고 식상이 왕성하나 재성이 식상을 재로 화(化)하게 한 때, 인수 및 편인이 중첩한 사주에 재성이 있을 때는 처가 현숙하거나 처로 인하여 치부한다.
③ 비겁이 왕성하고 재성이 약하더라도 식상이 있거나, 재성이 왕성하고 신약인 때 사주에 비겁이 있으면 현처를 얻는다.
④ 사주에 비겁이 많더라도 재성이 지지에 심장(深藏)되어 있으면 처가 양호하다. 여기서 지지에 심장되어 있다는 것은 재성이 辰, 戌, 丑, 未의 지장간에 있음을 말한다.
⑤ 일지에 재성이 있고 또 재성이 길신에 해당될 때에는 처재(妻財)를 얻는다.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 癸 丁 乙 丁 : 乾命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 卯 酉 巳 未
- 巳月生 丁火에다 乙卯木이 火를 생조하여 일주가 왕성하다. 시간의 癸水는 극히 미약하여 왕성한 화기에 압도될 듯하나 일지의 酉金 즉 편재가 癸水를 생하여 위기를 면했다. 비록 출신은 빈한하나 癸卯運에 처재(妻財)를 얻어 공부하여 壬寅運에 과거에 급제하고 金水運에 현귀(顯貴)에 올랐다.
죽전 명리에서 퍼온 글입니다. le03.com.ne.kr/saju7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