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3 (수)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1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자연의 순환 사상이 역학이다

페이지 정보

본문

자연의 순환 사상이 역학이다
 
역(易)을 공부하려면 우선 때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옛날 어른들이 철이 났다고 하던 그 철 말이다.강태공이 위수 강에서 세월을 낚았던 것처럼 역학은 느긋한 마음으로 때를 점치는 걸 익혀야 한다.일반 직장인들도 이삼십 년 하다 보면 기발한 이치를 찾는 경우도 있다.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전혀 생각하지도 않고 있을 때에 자금 사정이 좋아지는 경우가 있다. 대개10년이나 12년을 주기로 2년 동안 자금 사정이 원활해지는데 이것으로 나머지 6-7년을 살게 되는 것이다.
직장 생활을 하더라도 10년 중 2년은 목돈이 들어오는 때가 있다.아마도 일기를 몇 십 년 써 온 사람이나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은 이 이치를 쉽게 발견할 것이다.
즉 어쩐지 십 년전과 지금의 상황이 비슷한 사이클로 가고 있다는 느낌 같은 것이다.
그것은 느낌이 아니라 사실이다.자연의 계절과 인간의 계절은 다르다.
자연의 계절은 석 달에 한 번씩 차례로 춘하추동이 지나 1년이 되지만 사람은 다르다.
십 년이 일 년과 같다.
즉 봄에 해당되는 기간이 이삼년 있고, 또 여름에 해당되는 기간이 또 있고, 가을에 해당되는 기간과 겨울에 해당되는 기간이 각각 이삼년씩 따로 정해져 있다.
이것이 바로 인간의 계절을 아는 것이고, 그것이 철나는 것이다.이런 이치를 아는 사람은 목돈 들어올 일이 뭔가 하고 찾아내야 한다.
그러니까 10년 속에 2년 동안은 돈이 들어올 만한 일을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다.
말하자면 씨를 뿌려서 열매를 맺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역학을 익히게 되면 10년 동안에 운이 좋아지는 때를 저절로 알게 된다.그러니 뭔가 준비를 하고 씨를 뿌려야 한다.
그러니까 항상 때를 가려서 자기 일을 열심히 하면 인생은 잘 풀어지게 되어 있다.그러므로 예로부터 철 난 사람은 언제 씨를 뿌려야 하는지 언제 거두고 물러나야 하는지를 잘 알았던 것이다.사람이 살아가는 생활의 지혜는 사계절이 바뀌고 변하는 자연 이치와 너무도 닮아 있다.오늘날 수많은 사람이 어떻게 성공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경쟁에서 남들보다 앞서 나갈 수 있을까, 또 어떻게 하면 어려운 문제의 고민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하는 많은 문제를 두고 고민하고 있다.그 고민의 해결을 위한 실마리는 계절의 순환하는 위치에서 찾으면 된다.음양오행(陰陽五行)의 역경학(易經學)이라는 책을 보면 궁즉변 변즉통(窮卽變 變卽通)이라는 말이 나온다.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한다는 뜻이다.
무슨 일을 하다가 막히고 어려움에 처하거나, 궁지에 몰리게 될 때부터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려 나가게 되는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이다.궁지에 몰려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때부터 모든 일이 의외로 잘 해결되는 것이 세상의 섭리요, 자연의 이치인 것이다.
마치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고 밤이 지나면 아침이 오는 자연의 순리와 흡사하다고나 할까. 그러나 사람들은 이런 이치를 깨닫지 못하고 조금 힘들거나 어렵고 고생스러우면 쉽게 좌절하고 체념한다.그런 삶은 인생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는 삶이 되고 마는 것이다.만일 어떠한 역경이나,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황은 결국 희망적인 것으로 전환되기 마련이다.
다만, 이때 주의할 일은 모든 상황이 희망적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막연한 환상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스스로 역경을 뚫고, 개선해 나가려는 의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삶의 이치이며, 때문에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한다는 말이 인간 삶의 근본 이치가 되는 것이다.
 
 
출처 : 자연의 순환 사상이 역학이다 - blog.daum.net/gbell5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90건 40 페이지
사주가이드#1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305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42 10-03
1304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2 10-03
1303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4 10-03
1302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6 10-03
1301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 10-03
1300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 10-03
1299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0 10-03
1298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28 10-03
1297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3 10-03
1296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5 10-03
1295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0 10-03
1294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5 10-03
1293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1 10-03
열람중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 10-03
1291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6 10-03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7-22 임정* (男) 궁합
07-21 장재* (男) 작명,개명
07-19 선병* (男) 궁합
07-18 서혜* (女) 사주
07-16 박선* (男) 택일
07-14 이태* (男) 사주
07-11 이정* (女) 사주
07-10 정연* (女) 궁합
07-08 나선* (女) 택일
07-07 김대* (男) 사주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31201]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21872]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578]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6148]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30644]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9919] 2
아들의 외고합격 [450208] 2
젊은 여성의 임신 [382913] 1
재벌 회장의 사주 [439048] 2
유명가수의 사주 [433591] 1
보험설계사 [40116]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4367]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5423]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