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3 (수)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1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쇼팽의 연상의 애인. 조르주 상드 사주

페이지 정보

본문

조르주 상드(George Sand, 1804년 7월 1일 ~ 1876년 6월 7일) 
 
Name Sand, George Gender: F
Birthname Dupin, Amandine Aurore Lucie
born on 1 July 1804 at 15:00 (= 3:00 PM )
Place Paris, France, 48n52, 2e20
Timezone LMT m2e20 (is local mean time)
Data source Quoted BC/BR Rodden Rating AA  
 
양력: 1804년 7월  1일 15시
음력: 1804년 5월 24일 15시
 
구분
坤 命
 
 
 
당령
12운성
地殺
將星
災殺
將星
12신살
78
68
58
48
38
28
18
8
運路
壬戌
癸亥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1876년 계해대운 73세 병자년에 위암으로 사망함. 정화당령, 인묘공망.
 
조르주 상드(George Sand, 1804년 7월 1일 ~ 1876년 6월 7일)는 자유분방한 연애로도 유명한 프랑스의 소설가이다. 본명은 오로르 뒤팽(Aurore Dupin)이다.
 
[편집] 생애
 
파리에서 태어나 4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중부 프랑스의 베리주 노앙에서 할머니 손에서 자랐다. 루소를 좋아하는 고독한 소녀 시절을 보냈다.[1] 16세 때 지방의 귀족인 뒤드방 남작과 결혼하였으나 행복한 결혼생활은 오래 가지 못하고, 1831년 두 아이를 데리고 집을 나와 파리로 옮겼다. 1832년 친구의 권유로 신문소설 《앵디아나》를 써서 일약 유명해지면서부터 남장 차림의 여인으로 문인들 사이에 끼어 문필활동을 계속하였다. 그의 자유분방한 생활은 남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특히 시인 뮈세와 음악가 쇼팽과의 모성적인 연애사건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상드는 이처럼 72년의 생애 동안 우정과 사랑을 나눈 사람들이 2000명이 넘는 신비와 전설의 여인이었으며 정열의 화신이었고 ‘사랑의 여신’이었다.[1] 그의 일생은 모성애와 우애와 연애로 일관된 자유분망한 생애로서 그야말로 낭만파의 대표적 작가다운 모습을 보여 주여주고 있으며, 선각적인 여성해방운동의 투사로서도 재평가되고 있다.
 
[편집] 문학 활동
 
그는 뮈세와 쇼팽 등의 예술을 사랑하였으며, 2월 혁명 때에는 크게 활약하였다. 그의 문학 활동은 크게 4기로 나누는데, 자서전적인 작품을 쓴 제1기에는 <앵디아나> <발렌티> <렐리아> 등이 있으며, 인도주의와 사회주의적인 작품을 쓴 제2기에는 <프랑스 여행의 길동무> <안지보의 방앗간지기> 등이 있다. 제3기는 전원 소설인 <마의 늪> <사랑의 요정> 등이 있고, 제4기는 동화와 희곡을 쓴 안정된 말년의 시대로서 <빌르메르 후작>과 그의 최고 걸작인 <내 생활의 역사>가 있다. 그의 작품에는 인도적인 이상주의와 자연에 대한 깊은 사랑이 넘쳐 있으며, 스탈 부인과 함께 유럽 여성 문학의 창시자이다. [2]
 
[편집] 주요 작품
 
연애 소설 《앵디아나》 (1832년)
자서전적 애정소설 《렐리아》 (1833년)
인도주의적 사회소설 《콩쉬엘로》 (Consuelo, 1842년)
전원소설 《마(魔)의 늪》 (1846년)
《기아 프랑수아》 (1848년)
《사랑의 요정》 (1849년)
《피리 부는 사람들의 무리》 (1853년)
회상록 《내 생애의 역사》 (1854년 ∼ 1855년) 등.
특히 그의 편지(26권)는 서간 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힌다.
 
 
출처 : 명리마을 - cafe.daum.net/sajusaju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90건 37 페이지
사주가이드#1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0 10-03
1349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3 10-03
1348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2 10-03
1347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91 10-03
1346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6 10-03
1345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0 10-03
1344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1 10-03
1343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7 10-03
1342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 10-03
1341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4 10-03
1340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0 10-03
1339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2 10-03
1338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2 10-03
1337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7 10-03
1336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7 10-03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7-22 임정* (男) 궁합
07-21 장재* (男) 작명,개명
07-19 선병* (男) 궁합
07-18 서혜* (女) 사주
07-16 박선* (男) 택일
07-14 이태* (男) 사주
07-11 이정* (女) 사주
07-10 정연* (女) 궁합
07-08 나선* (女) 택일
07-07 김대* (男) 사주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30175]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20799]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517]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5076]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29597]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8905] 2
아들의 외고합격 [449162] 2
젊은 여성의 임신 [381874] 1
재벌 회장의 사주 [437959] 2
유명가수의 사주 [432509] 1
보험설계사 [40104]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3339]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4377]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