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신(六神) 2
페이지 정보
본문
육신(六神)
앞에서 甲木에 대한 육신(六神)을 살펴보았다.
오행에서 木을 갖고 있는 천간(天干)은 甲木과 乙木이다.
따라서 乙木도 육신은 동일하다.
다만 甲木은 陽木이고 乙木은 陰木으로서 서로 陰陽이 다르다.
중요한 부분이며 이해가 꼭 필요하기 때문에 조금 지루하더라도 다른 오행에 대해서도 육신을 살펴보기로 한다.
일주(日主)가 丁火인 사람의 육신(六神)을 살펴보자.
日主 丁火의 생아자(生我者) 즉 부모인 인성(印星)은 火를 生하는 오행이므로 木生火이니 木이다.
따라서 丁火의 인성(印星)은 木이 되며 오행상 木인 干은 甲과 乙이다.
내가 生해 주는, 즉 아생자(我生者)인 식상(食傷)은 火生土이므로 土가 된다. 즉 丁火의 식상(食傷)이 되는 干은 土이므로 戊와 己가 된다.
내가 剋하는 아극자(我剋者)인 재성(財星)은 火剋金이므로 金이 된다.
즉 丁火의 재성(財星)이 되는 干은 金이므로 庚과 辛이 된다.
나를 剋하는 극아자(剋我者)인 관성(官星)은 水剋火이므로 水가 된다.
즉 丁火의 관성(官星)이 되는 干은 水이므로 壬과 癸가 된다.
나와 오행이 같은 비겁(比劫)은 丙火와 丁火이다.
따라서 丁火의 비겁(比劫)이 되는 干은 丙과 丁이 된다.
일주(日主)가 戊土인 사람의 육신(六神)을 살펴보자.
日主 戊土의 생아자(生我者) 즉 부모인 인성(印星)은 土를 生하는 오행이므로 火生土이니 火이다.
따라서 戊土의 인성(印星)은 火가 되며 오행상 火인 干은 丙과 丁이다.
내가 生해 주는, 즉 아생자(我生者)인 식상(食傷)은 土生金이므로 金이 된다. 즉 戊土의 식상(食傷)이 되는 干은 金이므로 庚과 辛이 된다.
내가 剋하는 아극자(我剋者)인 재성(財星)은 土剋水이므로 水가 된다.
즉 戊土의 재성(財星)이 되는 干은 水이므로 壬과 癸가 된다.
나를 剋하는 극아자(剋我者)인 관성(官星)은 木剋土이므로 木이 된다.
즉 戊土의 관성(官星)이 되는 干은 木이므로 甲과 乙이 된다.
나와 오행이 같은 비겁(比劫)은 戊土와 己土이다.
따라서 戊土의 비겁(比劫)이 되는 干은 戊와 己가 된다.
일주(日主)가 辛金인 사람의 육신(六神)을 살펴보자.
日主 辛金의 생아자(生我者) 즉 부모인 인성(印星)은 金을 生하는 오행이므로 土生金이니 土이다.
따라서 辛金의 인성(印星)은 土가 되며 오행상 土인 干은 戊와 己이다.
내가 生해 주는, 즉 아생자(我生者)인 식상(食傷)은 金生水이므로 水가 된다. 즉 辛金의 식상(食傷)이 되는 干은 水이므로 壬과 癸가 된다.
내가 剋하는 아극자(我剋者)인 재성(財星)은 金剋木이므로 木이 된다.
즉 辛金의 재성(財星)이 되는 干은 木이므로 甲과 乙이 된다.
나를 剋하는 극아자(剋我者)인 관성(官星)은 火剋金이므로 火가 된다.
즉 辛金의 관성(官星)이 되는 干은 火이므로 丙과 丁이 된다.
나와 오행이 같은 비겁(比劫)은 庚金과 辛金이다.
따라서 辛金의 비겁(比劫)이 되는 干은 庚과 辛이 된다.
일주(日主)가 壬水인 사람의 육신(六神)을 살펴보자.
日主 壬水의 생아자(生我者) 즉 부모인 인성(印星)은 水를 生하는 오행이므로 金生水이니 金이다.
따라서 壬水의 인성(印星)은 金이 되며 오행상 金인 干은 庚과 辛이다.
내가 生해 주는, 즉 아생자(我生者)인 식상(食傷)은 水生木이므로 木이 된다. 즉 壬水의 식상(食傷)이 되는 干은 木이므로 甲과 乙이 된다.
내가 剋하는 아극자(我剋者)인 재성(財星)은 水剋火이므로 火가 된다.
즉 壬水의 재성(財星)이 되는 干은 火이므로 丙과 丁이 된다.
나를 剋하는 극아자(剋我者)인 관성(官星)은 土剋水이므로 土가 된다.
즉 壬水의 관성(官星)이 되는 干은 土이므로 戊와 己가 된다.
나와 오행이 같은 비겁(比劫)은 壬水와 癸水이다.
따라서 壬水의 비겁(比劫)이 되는 干은 壬과 癸가 된다.
이상과 같이 각 오행의 육신(六神) 배정을 표로 정리해 보자.
六神 |
日柱의 五行 | ||||
木 |
火 |
土 |
金 |
水 | |
印星 |
水 |
木 |
火 |
土 |
金 |
食傷 |
火 |
土 |
金 |
水 |
木 |
財星 |
土 |
金 |
水 |
木 |
火 |
官星 |
金 |
水 |
木 |
火 |
土 |
比劫 |
木 |
火 |
土 |
金 |
水 |
사주를 추명함에 있어 각 사람마다 기본이 되는 일주(日主)의 오행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육신이 각 오행의 대변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육신을 응용하여 오행의 생극추명(生剋推命)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행의 대변자 역할을 하고 있는 이 육신의 生과 剋을 이해하면 더욱 편리할 것이다.
나의 일주(日主)와 비겁(比劫)이 같으니 日主를 비겁으로 참고하면 된다.
육신(六神)의 生
印生比 : 인성(印星)은 비겁(比劫)을 生한다.
比生食 : 비겁(比劫)은 식상(食傷)을 生한다.
食生財 : 식상(食傷)은 재성(財星)을 生한다.
財生官 : 재성(財星)은 관성(官星)을 生한다.
官生印 : 관성(官星)은 인성(印星)을 生한다.
육신(六神)의 剋
印剋食 : 인성(印星)은 식상(食傷)을 剋한다.
食剋官 : 식상(食傷)은 관성(官星을) 剋한다.
官剋比 : 관성(官星)은 비겁(比劫)을 剋한다.
比剋財 : 비겁(比劫)은 재성(財星)을 剋한다.
財剋印 : 재성(財星)은 인성(印星)을 剋한다.
출처 : 육신(六神) - blog.daum.net/gbell5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