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2 (화)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1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격국(格局) - 인수격(印綬格) 1

페이지 정보

본문

격국(格局)
 
정격(正格)
 
인성격(印星格) - 인수격(印綬格)

육신(六神)으로 인성(印星)은 日主를 生하는 생아자(生我者)로서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이 있다.
정인(正印)은 어머니를 의미하며, 日主와 음양(陰陽)이 다른 육신(六神)이고 편인(偏印)은 서모(庶母), 계모(繼母)를 의미하며 日主와 음양(陰陽)이 같은 육신(六神)이다.
격국(格局)을 정할 때 정편(正偏)을 구분하지 않고 묶어서 정하는 것이 인성격(印星格)과 앞에서 배운 재성격(財星格)이다.
인성격(印星格)을 일반적으로 인수격(印綬格)이라 하기도 한다.
인성(印星)은 日主가 신약(身弱)하였을 때 생조(生助)하여 해결해 주는 길신(吉神)으로서 월령(月令)이 아닌 경우도 유근(有根)하여 득기(得氣)하여 있으면 인성격(印星格)으로 격국(格局)을 정할 수 있다.
인성격(印星格)은 특성상 日主를 生하는 것으로서 격국(格局)이 결정되기 때문에 재성격(財星格)이나 정관격(正官格)과는 반대로 신왕(身旺)한 경우가 많게 된다.
사주가 부귀격(富貴格)이 되는 것은 신왕관왕(身旺官旺)하던지 신왕재왕(身旺財旺)하던지 아니면 신왕식왕(身旺食旺)해야 한다.
즉 먼저 신왕(身旺)하고 관성(官星)이나 재성(財星), 식상(食傷)이 왕(旺)하면 길명(吉命)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사주가 日主와 인성(印星)으로만 구성되어 있어도 형충파해(刑冲破害)없이 순수(純粹)하게 신태왕(身太旺), 인성태왕(印星太旺)하면 길명(吉命)이 된다.
이렇듯 인성(印星)은 길명(吉命)이 되기 위해서는 중요한 육신(六神)이다.
인성격(印星格)에서 인성(印星)은 월주(月柱)에 있는 것이 가장 좋다. 월주(月柱)는 부모를 의미하는 주(柱)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주에 인성(印星)이 있으면 관성(官星)이 있는 것을 기뻐한다.
관생인(官生印), 인생일주(印生日主)하여 生의 흐름이 이어지며 그에 따라 관인상생(官印相生)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관인상생(官印相生)을 관인쌍전(官印雙全)이라고도 한다.
더 좋은 것은 인성(印星)이 있고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이 모두 있는 것이다.
재생관(財生官), 관생인(官生印), 인생일주(印生日主)하여 흐름이 튼튼하게 되고 주류무체(周流無滯)하면 중화(中和)가 잘되니 이를 삼기사주(三奇四柱)라 한다.
물론 재관인(財官印)이 모두 있어도 구성이 안 좋게 되어 있는 경우는 그렇지 못한 사주도 많다.
인성(印星)은 日主를 돕는다 하여 무조건 왕성한 것이 좋은 것은 아니다.
인성(印星)도 태왕(太旺)한 경우는 모자멸자(母慈滅子)라 하여 어머니의 정이 너무 많으면 자식을 죽게 하는 것과 같다.
인성(印星)이 태왕(太旺)하면 관성(官星)의 기운을 심하게 설기(泄氣)하게 되니 관성(官星)을 몰(沒)하게 되어 재주는 비상하나 취직이 안 되며 돈과는 담을 쌓고 예술이나 종교에 심취하여 종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인성격(印星格)인 사주는 조부모(祖父母)나 부모의 덕이 있는 사람으로서 가정교육을 잘 받고 자라온 사람이다.
따라서 심성이 착하고 순박하며 인품이 준수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호평을
받는 사람이 된다.
또한 청렴하여 돈과는 거리를 두면서 항상 학문을 좋아하여 학자풍의 사람이 된다.
하지만 외고집의 성질이 있어서 모든 일을 자신 위주로 처리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인성(印星)이 태왕(太旺)한 사람은 모든 것이 잘 되겠지 하는 무사안일한 사람이 될 수 있으며, 인성(印星)이 약한 경우에는 주체의식이 없어 자신의 일을 감당하지 못해 남의 탓으로 돌리는 나약한 사람이 될 수 있다.
 
 
출처 : 격국(格局) 인수격(印綬格)  - blog.daum.net/gbell5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90건 25 페이지
사주가이드#1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530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3 10-03
1529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91 10-03
1528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38 10-03
1527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51 10-03
1526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3 10-03
열람중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4 10-03
1524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3 10-03
1523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5 10-03
1522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2 10-03
1521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0 10-03
1520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7 10-03
1519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4 10-03
1518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3 10-03
1517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1 10-03
1516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5 10-03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7-22 임정* (男) 궁합
07-21 장재* (男) 작명,개명
07-19 선병* (男) 궁합
07-18 서혜* (女) 사주
07-16 박선* (男) 택일
07-14 이태* (男) 사주
07-11 이정* (女) 사주
07-10 정연* (女) 궁합
07-08 나선* (女) 택일
07-07 김대* (男) 사주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28713]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19376]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465]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3659]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28138]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7500] 2
아들의 외고합격 [447771] 2
젊은 여성의 임신 [380411] 1
재벌 회장의 사주 [436507] 2
유명가수의 사주 [431104] 1
보험설계사 [40088]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1942]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2944]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