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2 (화)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1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기상(氣狀) 청탁(淸濁) 2

페이지 정보

본문

기상(氣狀)
 
청탁(淸濁)
 
사주가 탁(濁)하다는 의미는 기(氣)가 맑게 흐르지 못하고 혼잡(混雜)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필요한 세력(勢力)인 올바른 육신(六神)의 기세(氣勢)는 극거(剋去), 충거(冲去), 기반(羈絆) 등으로 힘을 잃어버리고, 필요치 않은 사기(邪氣)는 득세(得勢)하여 난잡(亂雜)되어 있는 경우를 탁(濁)하다고 한다.
격국(格局)이 탁(濁)하다는 표현은 월령(月令)인 제강(提綱)이 파괴(破壞)되어 월령(月令) 이외의 육신(六神)으로 격국(格局)을 정할 때를 말하기도 한다.
만반탁기영인고 일국청고야고인 반탁반청유시가 다성다패탁신혼
(滿盤濁氣令人苦 一局淸枯也苦人 半濁半淸猶是可 多成多敗度晨昏)
사주에 탁기(濁氣)가 가득 찬 사람은 고달프다.하나의 국(局)이 청(淸)하더라도 메말라 무력하면(枯),또 역시 고달픈 사람이니, 반(半)은 탁(濁)하고 반(半)이 청(淸)하다면, 그나마 나을 수도 있지만 성패(成敗)가 너무나 많은 사람이므로, 조석(朝夕)으로 판단하여 조심스럽게 살아야 된다. 는 의미의 고서(古書) 내용이다.
사주가 탁(濁)하거나, 하나의 국(局)이 청(淸)하더라도 메마르거나 무력한 경우도 역시 평생(平生)을 고달프게 살아가야 된다는 애달픈 내용이다.
위의 내용에서 탁기(濁氣)와 청고(淸枯)의 사주는 평생 고달픈 사람이 된다고 똑 같이 비유하고 있다. 청고(淸枯)라는 말은 사주가 청(淸)하지만 고(枯)하다는, 즉 청중고(淸中枯)를 의미한다. 사주의 국(局)이 청(淸)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日主나 용신(用神)이 고(枯)하여 무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枯)하다는 의미는 약(弱)하다는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
청고(淸枯)하다는 것은 뿌리가 없어 무근(無根)하거나 뿌리가 극거(剋去)되어 무력하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무근(無根)으로 이해해야 되는데, 日主나 용신(用神)이 무근(無根)하다는 것은 행운(行運)에서 좋은 운(運)이 오더라도 발복(發福)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사주가 청고(淸枯)하다는 것은 日主와 용신(用神)이 무근(無根)하여 평생 고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약(弱)하다는 의미는 뿌리가 있는 유근(有根)으로서 그 힘이 미약(微弱)하거나 병(病)이 있어 약(弱)해져 있는 경우가 된다.
따라서 행운(行運)에서 생부(生扶)하거나 혹은 병(病)을 치료해 주는 약운(藥運)을 맞게 되면 크게 발복(發福)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청고(淸枯) 보다는 오히려 반탁반청(半濁半淸)이 그나마 더 낫다고 한 것이다. 반탁반청(半濁半淸)은 청중탁(淸中濁)이 된다.
사주의 구성이 청(淸)하나 그중 일부가 탁(濁)한 것이므로 성패(成敗)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반반(半半)인 것이다.
이런 경우는 만일 행운(行運)에서 탁기(濁氣)를 말끔하게 해결(解決)해 주는 운(運)을 맞는다면 크게 대발(大發)할 수 있다.
그런 운(運)을 못 만날 경우는 물론 평생 조석(朝夕)으로 조심스럽게 생활해야 하는 고달픔이 있겠지만....
사주에서 日主가 고(枯)하여 메말라 무력하게 되면 불빈역요(不貧亦夭)하다고 표현한다.
즉 빈한(貧寒)하지 않으면 요사(夭死)한다는 의미이다.
또 용신(用神)이 고(枯)하게 되면 불빈역고(不貧亦孤)하는 것이니 빈한(貧寒)하지 않으면 외롭게 살아간다는 의미가 된다.
사주가 청(淸)하고 정신(精神)이 있으면 일평생 발복(發福)하여 부귀수복(富貴壽福)을 누리고 살게 되나, 탁(濁)해서 편고(偏枯)하고 정신(精神)이 없으면 일평생 가난하고 외롭게 살아가게 된다.
사주가 탁(濁)한 경우는 행운(行運)의 청기(淸氣)를 맞아 탁(濁)한 것을 해결하면 발복(發福)하게 되나 행운(行運)도 역시 탁기(濁氣)를 맞게 되면 어쩔 수가 없다.
탁(濁)한 경우를 몇 가지 알아보자.
관성(官星)이 왕성(旺盛)한 경우, 인성(印星)으로 용신(用神)을 용(用)해야 하나 만일 재성(財星)이 있다면, 인성(印星)을 재극인(財剋印)으로 무너뜨리는 경우가 해당되겠다.
또 관성(官星)이 쇠약(衰弱)하다면 재성(財星)이 오히려 희신(喜神)이 되는데 비겁(比劫)이 재성(財星)을 겁탈(劫奪)하여 쟁재(爭財)하고 있는 경우이다.
전자(前者)는 재성(財星)이 탁(濁)한 경우가 되며, 후자(後者)는 비겁(比劫)이 탁(濁)하다고 한다.
재성(財星)이 왕성(旺盛)한 경우는 비겁(比劫)이 희용신(喜用神)이 된다.
이 때 관성(官星)이 있어서 관극비(官剋比)로 비겁(比劫)을 극제(剋制)하고 있다면 관성(官星)이 탁(濁)한 경우가 될 것이다.
반대로 재성(財星)이 약(弱)한 경우는 식상(食傷)이 재성(財星)을 식생재(食生財)로 생부(生扶)하게 되므로 식상(食傷)을 용신(用神)으로 용(用)하게 된다.
하지만 인성(印星)이 득세(得勢)하여 인극식(印剋食)으로 식상(食傷)을 파괴하고 있으면 인성(印星)이 탁(濁)한 경우가 된다.
日主가 신왕(身旺)하고 관성(官星)이 약한 경우, 관성(官星)을 용신(用神)으로 용(用)하고자 할 때 식상(食傷)이 있어 득세(得勢)한 경우는 재성(財星)이 있어야 통관(通關)하여 가능하지만 재성(財星)이 없는 경우는 식극관(食剋官)으로 관성(官星)을 진멸(盡滅)시키게 되니 식상(食傷)이 탁(濁)한 경우가 된다.
이해를 돕기위해 예제 사주를 보자.
 
時柱
日柱
月柱
年柱
 
祿
日柱
 
 
 
戊土 日主가 득령(得令)하여 비겁(比劫)이 있으니 왕(旺)하다.
용신(用神)을 식재관(食財官)으로 용(用)해야 한다.
먼저 비겁(比劫)이 왕(旺)하니, 월령(月令)의 여기(餘氣)에 통근(通根)하고 있는 년간(年干)의 乙木 정관(正官)을 용(用)하고자 하나 乙庚 合으로 기반(羈絆)되어 있어 본성(本性)을 망각(忘却)하고 있으니 탁(濁)하다.
월간(月干)의 庚金도 辰月로서 본기(本氣)가 미약하고 역시 기반(羈絆)되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며 비겁(比劫)의 生은 받고 있지만 시지(時支) 巳火로부터 극(剋)을 받고 있으니 역시 탁(濁)하다.
년지(年支)의 亥水 역시 본기(本氣)가 미약하며, 월령(月令)의 극(剋)을 받고 있고, 또 거리는 멀지만 시지(時支) 巳火와 巳亥 冲이 되어 있어 탁(濁)하다.
이 사주는 용신(用神)으로 용(用)하고자 하는 식재관(食財官)이 모두 흠이 있어 탁(濁)한 경우가 된다.
어쩔수 없이 월간(月干)의 庚金 식신(食神)으로 용(用)해야 한다.
乙木이나 亥水보다는 庚金이 그나마 더 낫기 때문이다.
 
 
출처 : 명리세상 - blog.daum.net/gbell5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90건 17 페이지
사주가이드#1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650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45 10-03
1649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 10-03
1648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8 10-03
1647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 10-03
1646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6 10-03
1645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74 10-03
1644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54 10-03
1643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2 10-03
1642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59 10-03
1641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8 10-03
1640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87 10-03
1639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9 10-03
열람중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4 10-03
1637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3 10-03
1636 no_profile Mr.대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3 10-03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7-22 임정* (男) 궁합
07-21 장재* (男) 작명,개명
07-19 선병* (男) 궁합
07-18 서혜* (女) 사주
07-16 박선* (男) 택일
07-14 이태* (男) 사주
07-11 이정* (女) 사주
07-10 정연* (女) 궁합
07-08 나선* (女) 택일
07-07 김대* (男) 사주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27952]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18582]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427]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2896]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27359]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6743] 2
아들의 외고합격 [446981] 2
젊은 여성의 임신 [379631] 1
재벌 회장의 사주 [435762] 2
유명가수의 사주 [430349] 1
보험설계사 [40079]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1121]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2144]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