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동인 개념-- 8자를 동하게 하는 인자 요소들.
2.동력 선후개념--동력에도 선후개념이 있다,
刑과 冲이 공존하면 刑작용이 먼저다.
왜냐하면 삼형과 삼회가 가장 강력한 힘이 있고 성립원리도
마치 간합 같이 하도에서 추상되었기 때문이다.
3.동력 실지개념-- 어떤 글자가 동인으로 작용하면서 원형리정에 의거
년월일시로 전개되어가는 중에 어느 구간에서 기물이 파손되면 동력이 멈춘다. 동력을 잃느냐, 지속되느냐가 관건이다.
1.동인 개념
刑-형이 성립되는 것을 --刑動/
형으로 인해 개고되어 타 글자와 합되어 월령을 얻어야 합화되고 합화되기 전에는 합화할 뜻이 있다고만 해석. 庚金일주에 丁壬이 합하면 (木)재탐하게 되고
돈이 눈에 보였는데 실지 득은 春月生이 되어야만 실지 소득으로 귀착된다.
불발이냐 합화냐가 몹시 중요한데
이때 刑으로 인해 合化되어 得하게 되면 --형기(刑起)/라 한다.
冲--충이 되면 --冲動/
冲이 되어 장간이 쏟아져 나와 合化되면 충기(冲起)/라 한다.
즉 이는 冲의 긍정적 의미다.
刑과 冲의 차이점은
가령 寅과 巳가 형할 때 두 글자에서 장간들이 쏟아져 나왔을 시
巳中의 丙과 명식의 辛이 合되면 巳의 기물은 없어지고
寅의 기물들은 아무 글자와 합을 못했다면 그대로 살아있다면
이것이 몹시 구체적인 得의 효과로 나타난다. 이것을 -형발(刑發/)이라 한다
한편 巳亥충이 되어 둘중 하나가 남았다 해도 이미 회손 되었으니
冲에는 衝發효과라는 것이 없다.
水일간
巳申형 巳中의 庚金이 투간 乙庚합
형에서 남아있는 기운은 에너지가 고스란히 남아 있으니 得.
亥中 壬이 합화되면 얻는게 아니다.
형기(刑起) 충기(冲起) 合化의 生産을 말한다.
會--회가 동하면 --회동(會動)/
암신을 촉발시키니 생산의 의마다.
단 리벌스는 회손 시키지만 회발(會發)
合--합이 되면 --합동(合動)/
합은 충을 기뻐한다.(합으로 인한 부자유로부터 해방되므로)
甲木일주에 辰酉합이되있으면 卯가 운에서 冲 해오면 酉가 동하면서 合이 풀려
재(진)와 관(유)을 모두 얻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현상을 합기(合起)라 한다.
형과 충의 차이는 형발에 있다.
형 |
형동 |
형기 |
형발(합화 현상을 동반시) |
충 |
충동 |
충기 |
* |
회 |
회동 |
암신촉발 |
회발 |
합 |
합동 |
합기 |
|
2.동력 선후개념은
(작용의 順序로 따지면)
첫째-- 당사자에게 한해의 제일 먼저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
결과적으로 볼 때는 干合현상이 제일 먼저 온다.
이때는 년간이 먼저고 시간의 글자가 뒤고 하는 식의 합이 순서가 아니라
8자내의 위치에 불문하고 간합이 강하게 먼저 온다.
둘째로---. 대운지와 지지가 작용한는 것,
세 번째는---. 연월일시순으로 간다.
가령 상반기에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데 하반기에는 아무 일이 없었다면
이는 상반기에 작용했던 동력이 유실되었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