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 김좌진 장군 사주
페이지 정보
본문
*다음은 청산리 싸움의 주인공 金佐鎭(김좌진) 장군의 명조이다
丁 庚 丙 己
亥 午 寅 丑
亥 午 寅 丑
銜字(함자) 김좌진, 이라 하는 物象(물상)은 池上包琴(지상포금)有鳳毛(유봉모)라 하여선 그 고귀한 신분 갖은 자가 美人(미인)과 함께 뱃놀이 하는 모습인 것이다
漢文(한문)으론 무언가 관철한다는 그런 의미인데 燈油耗盡漏靜滴徹一(등유모진루정적철일)聽鷄鳴(청계명)逍遙(소요)自歇(자헐)이라 하고 있다
漢文(한문)으론 무언가 관철한다는 그런 의미인데 燈油耗盡漏靜滴徹一(등유모진루정적철일)聽鷄鳴(청계명)逍遙(소요)自歇(자헐)이라 하고 있다
세상을 경영하는 고민 많은 이가 밤을 새면서 그 등기름을 다 소모해 가면서 지새우는데 낙수물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에 홀연히 한가지를 통달하여선 깨우치는바가 있음인지라 그러자니 자연 새벽이 오는 닭 울움 소리가 들리더라는 것이고 그리하여선 스스로 휴식을 취하는 상태로 되더라는 것이리라 말하자면 암울한 시대에 태어나선 그 여명이 트기를 학수고대하는 모습을 그려주고 있는 것인지라 결국 우리나라가 일제의 압제에서 자연 해방될 것이라는 것을 깨닷는 순간
자신은 고요한 상태로 돌입을 하게되어선 편안하게 쉬러 간다는 것으로서 해방이 올 것이라는 기쁨을 안고선 하늘나라로 돌아간다는 그런 내용이리라
李範奭(이범석)조를 본다면 庚字(경자)가 그 年干(년간)이 되어선 大將(대장)으로 모시고 있는 그림을 그려주고 金斗漢(김두한)이 命條(명조)를 본다면 庚(경)이 洗練(세련)되어선 辛(신)으로 하하여선 그 어깨 보호자들에게 둘러 쌓여져 있는 모습을 그리는데 여기서는 그 庚字(경자)가 자신 日干(일간)으로 그려지고 있다 할 것인데 年干(년간)에 印根(인근)을 갖은 庚(경)이 丙丁(병정)官煞(관살)을 뒤잡아 쓴 모습 소이 敢鬪(감투)를 쓰고 있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자신이 官煞(관살)의 먹이 所以(소이) 짐을 짐으로서 그 官煞(관살)을 살찌워선 印綬(인수)의 根(근)을 삼는 樣相(양상)은 그 많은 시련과 노력을 보여주는 그런 모습이라 年柱(년주) 印性(인성)力量(역량) 己丑(기축)이 힘이 몰린다는 것은 그 상당하게 譽命(예명)을 드러낸다 할 것이다 丁己(정기)祿(록)은 在午(재오)하여선 그 官(관)과 印性(인성) 力量(역량)이 그 日柱(일주)의 祿(록)을 얻는 모습이라 할것이고 丙字(병자)殺(살)은 根(근) 寅字(인자)가 合木(합목)을 얻은 형태인지라 그 根(근)이 묶이는 것인지라 殺(살)역할 못한다 할 것이지만 그렇게 巳亥(사해)到沖(도충)寅巳(인사)三刑(삼형) 받으면 그 살이 살아나는 모습인지라 결국은 그렇게 火氣(화기) 巳字(사자)形(형) 拳銃(권총)에 죽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地支(지지)에 巳字(사자)形(형)이요 天干(천간)에는 己字(기자)形(형)이라 그렇게 권총형 己字(기자)가 發射(발사)하는 火氣(화기)丙丁(병정)에 庚金(경금)이 죽는 모습이라 할 것이고 또 그러한 火氣(화기)를 잘 요리할 때 크게 전쟁의 功勳(공훈)을 세우는 모습이기도 하다 할 것이다 이것은 日柱(일주)가 살아나면 안되는 모양 그 殺(살)에 同化(동화)되어야지만 좋은 것인데 그 祿(록)이나 比劫(비겁)이나 이렇게 힘을 쓰는 運勢(운세)에 아마도 그 狙擊(저격)당하지 않았는가 하여 보는 것이다
大定(대정)易象(역상)은 1490으로서 大有(대유)二爻(이효) 大車以載(대차이재)有攸往(유유왕)无咎(무구) 象曰(상왈) 大車以載(대차이재)積中不敗(적중불패)이다 = 소이 큰 수레 큰 그릇의 자질이므로 크게 실어도 敗戰(패전)하지 않는다는 爻氣(효기) 작용으로서 큰 싸움을 堪當(감당)하여선 空前絶後(공전절후)의 이름을 남기게 된다 할 것이다 黃離(황이)元吉(원길)이라 하는 아주 좋은 덫 그물을 갖은자 그 智略(지략)이 능한 자 또는 아주 밝은 火氣(화기) 火力(화력)을 갖고 있는 자 이런 것을 표현하는 말이 되는 것이다
그 顚覆(전복) 된 상황 同人(동인) 五爻(오효)를 볼 것 같으면 그 大師克(대사극)이라야 만나볼 수 있다는 것만 보아도 왜넘들 그렇게 많은 군대를 동원하고서라도 그 감당하질 잘 못한 모습을 그려주고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바른 위상은 그 작은 군사로서 큰 무리를 대항하여선 승리 하였다는 그런 말이 아닌가 하여 보는 것이다
本命(본명)物象(물상)은 裴成錦(처배성금)이라고 = 무성한 삼베옷이 오히려 비단옷을 이룬다하고 있는 것을 본다면 좋은 옷을 입은 상태를 그려주는 것인데 그 비단옷 입고 馬(마)를 타니 도리혀 사냥군 되었다는 말귀가 있는데
所以(소이) 독립군 항쟁하는 투사들이 그렇기 騎馬兵(기마병)이 되어선 털 가죽 옷을 입고선 머리에는 그렇게 털 모자를 쓰고선 활동하는 모습을 그려준다 할 것인바 그 騎馬兵(기마병) 馬賊(마적)團(단) 이런 것을 상징하는 모습이라 할 것이다 당시 그 만주 간도에는 그렇게 독립 빌미아래 그 마적단이 성행 하였다한다 마치 마적단이 마를 타고선 타그닥- 타그닥- 하고선 하얀 눈 덮인 山野(산야)를 달리는 모습을 연상하는 物象(물상)이라 할 것이다
그러니 그런 자들이 砲狩(포수)라 사냥을 얼마나 잘 할 것인가 이다 倭兵(왜병)이 모두 사냥감이라 그저 火性(화성)銃(총)이나 狩獵(수렵)銃(총) 구구식으로 한 대 팡- 피용- 갈기면 죽어 나자빠 질 것이 아닌가 이다 구경하기만 해도 신낫을 것이다 어삿또 출도 할적에 역패랭이 신나듯 할 것이라는 것이다 사냥감이 꼬구라지는 것을 보면 말이다 엣다- 고넘들 싸구사니다 이렇게 손벽을 치고 고소를 금치 못했을 것이라는 것이리라
丁 庚 丙 己
亥 午 寅 丑
亥 午 寅 丑
*甲申(갑신)년 解釋(해석) = 銜字(함자)로는 金(금)을 도와 鎭壓(진압)한다는 뜻인데 庚金(경금)을 火氣(화기)가 둘러 싼 모습인데, 이것이 전쟁에 화력을 말할 것이라 소이 戰場(전장)마당의 陣中(진중)에 將軍(장군)으로 있는 것이 바로 庚金(경금)이라는 것이다 庚金(경금)이 寅亥(인해) 合木(합목)을 쥐고 있음에 그 火氣(화기) 根氣(근기) 所以(소이) 兵力(병력)의 指揮權(지휘권)을 갖고 있다는 표현이요 賊勢(적세) 水氣(수기) 陰凶(음흉)한 도둑 어두운 넘을 정벌 하기 위하여선 그 火氣(화기)의 銳氣(예기) 土性(토성)을 그 年柱(년주)대로 泄氣(설기)하고 있는 모습이다 진압할鎭字(진자)를 破字(파자)해 본건데 金(금)이 참이라는 것이니 분명 庚金(경금)이 그 참주인 으로서 그 陣中(진중)에 座(좌)鎭(진)하고 있는 그런 형태라 할 것이다
* 앞서 金斗漢(김두한)이와 이범석 장군의 명조에서 설명했지만 확실하게 김장군의 日干(일간)은 庚(경)日干(일간) 이다 ,
즉 이범석 장군을 휘하로 두고 김두한이의 아버지이며 그 婦人(부인)性(성)이 둘이라는 뜻이다
참고로 이범석 장군과 김두한이 명조를 갖고와 보면
참고로 이범석 장군과 김두한이 명조를 갖고와 보면
戊 戊 戊 庚
午 午 子 子 이범석 장군
午 午 子 子 이범석 장군
己 辛 戊 戊
丑 丑 午 午 김두한 국회의원
丑 丑 午 午 김두한 국회의원
金佐鎭(김좌진)장군의 명조를 볼진대 庚午(경오)대이며 丁亥(정해)時間(시간)이다 소위 火克金(화극금)으로 그 사망하는 것을 알수가 있는데 그火氣(화기)에 의하여 죽음은 물론 그 공산주의자를 갖다가선 빨갱이라 하는데 남방 적색이 곧 빨갱이라 소위 그 누가 죽인다는 것까지 다나오고 있는데 丁午(정오)를 그 亥字(해자) 玄武(현무)가 잡고 조종하는 모습인데 결국 밝지 못한 죽음 흉탄에 간다는 것이리라 검은 넘의 사주를 받은 적색 성향이 그 일간을 克(극)해 버린다는 그러한 원리다
그런데 一說(일설)에는 그 정치적인 利害(이해)로 汚名(오명)을 공산주의 자들에게 덮퍼 씌우기 위하여선 공산주의자가 죽였다는 것은 날조된 것이라 하는 설도 있음에 확실한 것은 알 수가 없다할 것이다 , 그러니깐 亥字(해자) 조정은 음흉한 자의 술수로서 그래 적색성향을 띤 자가 使嗾(사주) 받아서는 죽이는 것처럼 비춰진다는 것으로 그러한 樣相(양상)을 그리는 것을 상징한다해도 될 것이다
그런데 一說(일설)에는 그 정치적인 利害(이해)로 汚名(오명)을 공산주의 자들에게 덮퍼 씌우기 위하여선 공산주의자가 죽였다는 것은 날조된 것이라 하는 설도 있음에 확실한 것은 알 수가 없다할 것이다 , 그러니깐 亥字(해자) 조정은 음흉한 자의 술수로서 그래 적색성향을 띤 자가 使嗾(사주) 받아서는 죽이는 것처럼 비춰진다는 것으로 그러한 樣相(양상)을 그리는 것을 상징한다해도 될 것이다
출처 : 백야 김좌진 장군 명조 - cafe.daum.net/dur6fk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