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물 1,890건
|
|
|
60간지와 64괘 |
파이팅
2017-10-02 (월) 10:53
조회 : 1429
|
|
60干支度數원리와 64卦序卦원리
1, 간지도수 : 1~60까지의 간지의 전체
六甲 : 60간지에서 전반부에 해당하는 선천육갑(1~30간지)
先甲3일 後甲3일
六庚 : 60간지에서 후반부에 해당하는 후천육갑(31~60간지)
先庚3일 後庚3일
•, 度數 : 거듭하는 회수, 크기를 나타내는 수, 정윤도수, 주회도수, 체위도수, 원도수, 율려도수, 천지도수, 등, 10천간과 12지지는 모두 象과 數를 표상하기 때문에 도수라고 한다.
•, 干支度數는 幹枝가 변한 것으로 음양합덕체를 상징적으로 표상한 생명철학의 철학적 원리이다. 천간과 지지의 도수이다.
•, 甲(갑자)이란 60간지중 전반부 30도수에서 첫번째 도수로서 선천적 원리이고, 庚(경자)은 후반부 30도수에서 첫번째 도수로서 후천적 원리이다.
*, 甲(3) :
1), 1-하도의 逆成數(1은 하도 10수가 9수에서 시작하여 도생작용의 마지막으로 마이너스작용의 완성, 씨앗), 天開於子, 물(水)
•, 逆成數란 逆生而倒成이다. 體로 볼 때 一은 태극, 十은 무극이고 用으로 볼 때 一로부터 행하는 것을 逆이라 하고 十에 달한 수를 倒라고 한다. 逆生이란 一에서 시작한다(선천-逆數)는 뜻이고 倒生이란 十에서 완성한다(후천-順數)는 뜻이다.
2), 2-뿌리, 地闢於丑, 불(火)
3), 3- 寅(木), 처음, 시작, 三生於寅, 1과 2의 과정을 거쳐 지표를 뚫고 나와 두갈래의 떡잎으로 나온다.
2, 한국상고사의 근원정신은 干支度數를 중심으로 한 六甲문화이다. 중국고대종족의 기원은 干支度數원리를 바탕으로 한 白문화를 일군 東夷민족에 있다. 복희, 순임금은 동이족이다.
3, 60간지와 64괘
--상경--
甲子제1重天乾, 乙丑제2重地坤, 丙寅제3水雷屯, 丁卯제4山水蒙, 戊辰제5水天需,
己巳제6天水訟, 庚午제7地水師, 辛未제8水地比, 壬申제9風天小畜, 癸酉제10天澤履,
甲戌제11地天泰, 乙亥제12天地否, 丙子제13天火同人, 丁丑제14火天大有, 戊寅제15地山謙
己卯제16雷地豫, 庚辰제17澤雷隨, 辛巳제18山風蠱, 壬午제19地澤臨, 癸未제20風地觀,
甲申제21火雷噬嗑, 乙酉제22山火비, 丙戌제23山地剝, 丁亥제24地雷復, 戊子제25天雷无妄,
己丑제26山天大畜, 庚寅제27山雷頤, 辛卯제28澤風大過, 壬辰제29重水坎, 癸巳제30重火離,
--하경--
甲午제31澤山咸, 乙未제32雷風恒, 丙申제33天山遯, 丁酉제34雷天大壯, 戊戌제35火地晉,
己亥제36地火明夷, 更子제37風火家人, 辛丑제38火澤睽, 壬寅제39水山蹇, 癸卯제40雷水解,
甲辰제41山澤損, 乙巳제42風雷益, 丙午제43澤天夬, 丁未제44風天姤, 戊申제45澤地萃,
己酉제46地風升, 제47澤水困, 제48水風井, 제49澤火革, 제50火風鼎,
庚戌제51重雷震, 辛亥제52重山艮, 壬子제53風山漸, 癸丑제54雷澤歸妹, 甲寅제55雷火豊
乙卯제56火山旅, 丙辰제57重風巽, 丁巳제58重澤兌, 戊午제59風水渙, 己未제60水澤節
庚申제61風澤中孚, 辛酉제62雷山小過, 壬戌제63水火旣濟, 癸亥제64火水未濟
*, 更子제37風火家人, 辛丑제38火澤睽, 壬寅제39水山蹇, 癸卯제40雷水解은 합덕문이다.
*, 제47澤水困, 제48水風井, 제49澤火革, 제50火風鼎은 포태궁이다.
출처 : 60干支度數원리와 64卦序卦원리 - cafe.daum.net/2040
|
|